이번 방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이 수행하고자 한 것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하나는 한국에서 문제되는 상황버섯을 형태적으로 정확히 분류동정하고 또한 상황버섯균주에서 DNA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밝혀 Phellinus linteus에 대한 specific primer를 찾는 일이며 또 하나는 한국에서 채집된 동충하초균의 불완전세대의 분류동정과 아울러 한국의 동충하초를 영문판으로 내기 위하여 영문으로 번역하고 미국에 있는 출판사를 선정하는 것이었다. UC Davis에서는 식물병리학과에서 DR RIZZO와 한국산 상황버섯자실체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Phellinus linteus로 동정되었다. 상황버섯균의 Specific primer를 정하기 위하여 Iowa 주립대학교 식물병리학과에서 Dr Harrington과 같이 연구한 결과 ITS 1-F 5'CTT-GGT-CAT-TTA-GAG-GAA-GTA-A, ITS-4 5'-TCC-TCC-GCT-TAT-TGA-TAT-GC, PLF 5' ACC-TGC-TGC-TGG-TGC-GAA-AAT-CG, PLR 5' CGG-ACG-GCT-AGA-AGC-AAG-CTC-G를 만들었다.
Ithaca에 있는 코넬대학내에 있는 USDA에서는 본인이 가지고 간 19종의 균을 분류동정하였으며 Colle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s(ARSEFF)로부터 18개 균을 분양 받았고 한국산동충하초책을 영문판으로 내기 위하여 Dr Humber와 번역을 완료하였고 Coenell University Press의 Science editor인 Perter J. Prescott를 만나 출판을 협의 하였다.
'동충하초 활동 > 동충하초채집(방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충하초 연구를 위한 미국 방문(2000. 12. 9-12.26) (0) | 2010.01.18 |
---|---|
뽕나무버섯 미국학회발표(1992.8.14-8.26) (0) | 2010.01.18 |
동충하초 방문 연구(미국 Iowa 주립대학교와 코넬대학 1995) (0) | 2010.01.17 |
동충하초 연구를 위한 라오스 방문 연구(2006. 2. 3.- 2. 7.) (0) | 2010.01.17 |
동충하초 연구를 위한 대만 방문(2006. 12. 18-12. 22) (0) | 2010.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