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M2의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억제효과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는 염증을 일으키게 되며, 이 물질에 의해서 염증유발 단백질로 알려진 iNOS 단백질과 COX-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M2를 처리하였을 경우 NO의 생성을 일으키는 iNOS의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에 따라서 저해됨을 알 수가 있었으며, PGE2의 생성을 유도하는 COX-2 단백질의 발현도 저해되었다(Fig 17). 따라서 M2는 항염효과가 있음을 알 수가 있었으며, 다음으로 이런 세포내 신호기작을 더 탐색하였다.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는 대표적으로 IkB-NFkB 경로를 통해서 염증유발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과연 M2가 이러한 IkB의 인산화 및 분해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이 단백질의 감지한 결과 농도에 따라서 단백질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LPS에 의해서 분해되는 IkB를 보호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Fig 18). 따라서 M2는 IkB-NFkB의 경로를 억제함으로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세포내 분자 중에 ERK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 M2는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지 못하였다.
Fig. 17 합성된 militarin 2의 LPS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NO, iNOS 그리고 COX-2 단백질의 발현 억제효과
Fig. 18 합성된 M2의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kB 인산화와 분해에 미치는 효과
'동충하초 생리활성 > 번데기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재모동충하초에서 분리 정제된 밀리타린의 급성독성실험 (0) | 2010.02.28 |
---|---|
인공합성된 밀리타린 M5의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억제효과 (0) | 2010.02.22 |
인공합성된 밀리타린들의 NO 억제효과와 대식세포사멸 효과 (0) | 2010.02.22 |
합성된 밀리타린의 M2와 M5의 Caspase-3 활성에 미치는 영향 (0) | 2010.02.22 |
합성된 밀리타린 M2와 M5의 정상세포와 암세포에 대한 IC50 (0) | 201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