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머쉬텍에서 재배한 성재모동충하초를 가지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 교실 박형진교수님이 수행한 연구로 Gross는 적출한 흰쥐 간 사진으로 섬유화가 된 간의 표면이 거친 모양을 하고 Micro는 간 조직의 섬유를 염색한 사진으로 푸른색 줄무늬가 섬유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 섬유화를 유발하면서 성재모동충하초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하면 섬유화가 감소되는 효과를 흰 쥐를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이다.
'동충하초 생리활성 > 번데기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재모동충하초에서 정제분리된 코디세핀에 의한 신생내막 형성 저해 (0) | 2010.04.12 |
---|---|
성재모동충하초가 간 기능에 미치는 효과 (0) | 2010.04.11 |
밀리타린의 아급성독성실험 (0) | 2010.02.28 |
성재모동충하초에서 분리 정제된 밀리타린의 급성독성실험 (0) | 2010.02.28 |
인공합성된 밀리타린 M5의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억제효과 (0) | 201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