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좌의 색채는 붉은색, 노란색, 자주색, 초록색, 검은색, 흰색, 주누른 빛갈, 올리브색 등으로 다양하며, 조직은 공통적으로 탄력이 있고, 육질이나 다소 연한 육질, 강한 섬유 육질, 유연한 연골질 등으로 되어 있다. 공통적으로 버섯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에 자낭각(perithecium)이 분포한 형태에 따라서도 묻힌형, 반 묻힌형, 비스듬히 묻힌형, 돌출형, 착의형 등으로 분류되며(그림III-4), 자루와 연결된 머리의 위치에 따라서 정생(頂生), 중간생, 측생(側生)의 세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그림III-5)
이와 같이, 동충하초는 여러가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간형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 종들 중에는 부속사를 가지고 있는 종류도 있다. 묻힌형의 자낭각을 가지고 있는 종들에서 자루의 조직과 부속사의 존재 유무가 종을 동정(同定)하는 근거가 되는 반면, 돌출형의 자낭각을 가지고 있는 종들은 자낭각이 머리의 전반부를 덮고 있지 않고 많은 부분들을 그대로 남겨 놓기 때문에 부속사는 큰 의미가 없다. 주어진 종의 부속사가 매우 길고 자루와 모양이 같으면 중간생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합하며, 측생형의 머리는 보통 부풀어 있는 자낭판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경우는 하나의 자좌에 측면 또는 맨 꼭대기에 2-3개의 자낭판을 형성하는데, 돌출형의 자낭각을 가진 동충하초는 머리의 위치가 분류상에서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반면, 묻힌형의 머리를 가진 동충하초는 측생, 정생, 중간생으로 나누어 아절을 구분하는 특징이 된다.
(그림 III-4) 자좌가 부착된 머리의 형태
1.묻힌형 2.반묻힌형 3.비스듬히 묻힌형 4.5.돌출형 6.착의형
(그림III-5) 머리의 위치 1. 정생 2. 측생 3. 중간생
'동충하초 책 > 한국동충하초(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3) (0) | 2010.02.04 |
---|---|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2) (0) | 2010.02.04 |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 (0) | 2010.02.04 |
동충하초속균의 분류(1) (0) | 2010.02.03 |
동충하초속균의 분류 (0) | 201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