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낭포자는 가느다란 방추형의 실 모양으로 뚜렷한 격막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의 네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1. 오피오코디셉스형(Ophiocordyceps):자낭포자의 격막이 분열하여 2차 포자가 되지 않는 형. 2. 유코디셉스형(Eucordyceps):자낭포자의 격막이 분열되어 단형, 직사각형, 또는 각이 진 타원형의 2차 포자가 되는 형.
3. 유코디셉스형의 변형형:격막이 분열된 후 형성된 2차 포자의 각이 없어져 타원형이나 구형이 되는 형
4. 네오코디셉스형(Neocordyceps):자낭포자의 격막이 분열하여 방추형의 2차 포자가 형성되는 형(그림III-7)
이상의 네 가지 형에 각각 해당되는 대표적인 동충하초로는 1형에 유충직립동충하초(C. rosea)가 있고, 2형은 큰매미동충하초(C. heteropoda), 큰번데기동충하초(C. militaris) 또는 균핵동충하초(C. ophioglossoides)가 이에 속하며, 3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4형에 속하는 동충하초로는 벌동충하초(C. sphecocephala)나 개미콩나물동충하초(C. formicarum)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림III-6) 동충하초균의 자낭 머리
1. 번데기동충하초 2. 균핵동충하초 3. 유충긴목구형동충하초 4. 벌가시동충하초
5. 벌동충하초
(그림III-7) 자낭포자
1. 오피오코디셉스형 2,3. 유코디셉스형
4. 유코디셉스형의 변형형 5. 네오코디셉스형
'동충하초 책 > 한국동충하초(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충하초의 분류체계 (0) | 2010.02.06 |
---|---|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4) (0) | 2010.02.06 |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2) (0) | 2010.02.04 |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1) (0) | 2010.02.04 |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특징 (0) | 2010.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