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확인 및 합성연구
밀리타리스동충하초에서 항암효과가 있는 새로운 물질인 militarin을 정제하였지만(Fig 23), 본 연구를 통해서 구조를 재확인한 결과 기존의 구조에서 mannitol구조가 빠진 구조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Fig 24), 또한 이 정제된 항암물질은 인공적으로 합성을 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을 하였다(Fig 25). 특히나 기존에 알려진 Cordycepin보다 항암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여(Fig 23) 다시 이 militarin을 합성하여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동충하초에서 정제된 물질을 구조분석 및 합성 실험을 통해서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정제될 수 있는 생리활성의 물질의 구조분석 및 합성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구조분석 결과 얻은 구조{MW : 634 (C32H58O12)}
General Form MW;382.53 (C22H38O5)
Major Compounds: n=8,9
'동충하초 생리활성 > 번데기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된 밀리타린의 항암효과 (0) | 2010.02.22 |
---|---|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된 밀리타린의 구조 (0) | 2010.02.22 |
활성산소종으로 자극된 심근세포의 사멸억제에 미치는 cordycepin의 효과 (0) | 2010.02.17 |
번데기동충하초에 함유된 Cordycepin의 항염증 신호전달 (0) | 2010.02.17 |
번데기동충하초에 함유된 Cordycepin의 분리정제모식도 (0) | 201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