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간의 생리활성 차이 및 비교실험
가.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선택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간의 생리활성 차이 및 비교실험을 위하여 사용된 균주는, 1784, 1795, 5657, 9044, 15746의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를 사용하였다.
나.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항산화 비교 실험(antioxidatice activity).
DPPH실험법을 사용하여 항산화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60과 같았으며, IC50에 해당되는 양을 표시하였다. IC50이 가장 낮은 균주는. 15746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1795이 가장 항산화 효력이 낮았다. 항산화력이 높은 순서로 비교하면, 5746>5657>9044>1784>1795의 순서를 보였다.
다.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항암 비교 실험.
MTT assay를 사용하여 항암능력을 비교 하였으며, Cancer cell line으로는, Hela, A549, B16F10를 사용하였다. cell을 각 well당 5×103개로 seeding한 후 0.5% FBS media에서 starvation후, 각각의 노랑다발동충하초 시료를 100, 200, 300 ug/ml로 첨가한 후, 24hr,48hr,72hr 배영후, 1mg/ml의 MTT시약으로 570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1)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Hela cell(자궁암 세포)의 억제 효과
Fig. 61 에서와 같이, 1784, 1795 가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5657이 가장 낮은 효과를 보였다. 5종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자궁암 억제 효과를 비교하면, 1784=1795>9044>15746>5657 순서를 보였다.
(2)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A549(폐암 세포)의 억제 효과
Fig. 62 과 같이, 1784=1795>9044>15746>5657 의 순서를 보였으며, 자궁암세포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3)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B16F10(피부암 세포)의 억제 효과
Fig. 63과 같이, 위의 Hela cell(자궁암 세포)과, A549(폐암 세포)에 비해 아주 좋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1784=1795>9044>15746>5657 의 순서를 보였으며, 억제 순서는 위의 Hela cell(자궁암 세포)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동충하초 생리활성 > 노랑다발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다발동충하초 butanol추출분획(CBBF) 처리후 피부염 환부의 조직 변화 (0) | 2010.03.02 |
---|---|
노랑다발동충하초 butanol 추출분획(CBBF) 처리후 피부염 환부 육안적 변화 (0) | 2010.03.02 |
노랑다발동충하초 buthanol분획물의 항암 기작 (0) | 2010.03.02 |
Bcl-2와 Bax protein에 대한 CBBF의 효과 (0) | 2010.03.02 |
PARP protein에 대한 CBBF의 효과 (0) | 2010.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