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노랑다발 동충하초 butanol 추출분획(CBBF) 처리 후 피부염 환부의 조직학적 변화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하고 노랑다발동충하초 추출물을 12일간 환부에 도포하여 얻은 피부의 조직학적 변화를 Figure 2과 Plate 2에 제시한다. Normal control에서 외피 두께(epidermal thickness)와 진피 두께(dermal thickness)는 각각 56.70 ± 2.43 μm과 526.88 ± 12.08 μm이었다. 외피와 진피 두께는 atopy control 군에서 각각 240.21 ± 25.86 μm과 808.46 ± 9.15 μm이어서 normal control의 해당 측정치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동충하초 추출물을 처리한 CBBF에서는 각각 81.10 ± 16.31 μm과 615.07 ± 50.92 μm이어서 atopy control의 해당 측정치에 비해 크게 감소하여 normal control 수준으로 회귀하였다(Fig. 69, Plate 2)(36,37,38).
Fig. 69. Effects of CBBF on epidermal and dermal thickness in Nc/Nga mice. Thicknesses of the epidermis and dermis are greatly increased in atopy control. CBBF markedly reduced the atopy-induced increases to the level of corresponding value in the normal control.
B
C
'동충하초 생리활성 > 노랑다발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다발 동충하초 CBBF 처리 후 피부염 환부의 interferon-gamma 발현 (0) | 2010.03.02 |
---|---|
노랑다발 동충하초 butanol 추출분획(CBBF) 처리 후 혈청 Ig E 수준의 변화 (0) | 2010.03.02 |
노랑다발동충하초 butanol 추출분획(CBBF) 처리후 피부염 환부 육안적 변화 (0) | 2010.03.02 |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항산화 비교 실험 (0) | 2010.03.02 |
노랑다발동충하초 buthanol분획물의 항암 기작 (0) | 2010.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