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주에 따른 MeOH 추출물에 따른 HPLC Pattern 비교
파쇄된 목질진흙버섯 가루를 75℃에서 MeOH 추출을 한 후에, evaporation을 통해서 고형화로 만들었다. 그런 다음에 20mg/ml의 농도로 하여 20㎕ injection하여 269nm(당), 280nm(단백질), 385nm(목질진흙버섯 색소)의 3파장을 HPLC로 분석하였다.
분획추출물의 당분포
(파란색: MeOH, 빨간색: Hexane, 연두색: Butanol, 분홍색; EA, 보라색: Water)
Comparison of HPLC pattern of Phellinus lineteus fractions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온추출한 MeOH 분획물을 다시 non-pola에서 pola로 분획추출하였을 경우 각각의 성분들이 극성에 따라서 분획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으며 특히 Butanol층은 색소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앞에서 선행된 실험결과를 보면 Butanol이 제일 좋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다.
'상황버섯 > 상황버섯생리활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버섯 균주에 따른 MeOH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0) | 2010.03.27 |
---|---|
상황버섯 분획물의 TLC Pattern 비교 (0) | 2010.03.27 |
상황버섯의 분획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 (0) | 2010.03.27 |
상황버섯의 단백질 조사 (0) | 2010.03.27 |
상황버섯 추출용매 따른 추출물의 TLC Pattern 비교 (0) | 201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