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진흙버섯의 항산화 효과
본 실험에서 이용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의 hydrazyl은 질소원자가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므로 쉽게 수소원자를 받아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수소원자를 받아들임으로써 자체의 정색성을 잃는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배양목질진흙버섯 자실체의 항산화능의 정도를 측정하고,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방법에 따라 그 활성성분을 추적하는데 아용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서 균주별로 인공재배된 목질진흙버섯 균주와 PH-1번 균주의 분획에 대한 항산화능의 정도를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으로 측정한 결과와 시료 무첨가의 control (0.1 mM DPPH 용액 1.9 m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IC50)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질진흙버섯을 추출용매에 따라서 그리고 시간에 따라 그 활성물질의 함유정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을 경우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3시간 정도 추출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모든 추출용매는 메탄올 3시간으로 하였다.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cultured mycelia CPL extracted at time interval.
IC50* :The value indicated of 50% decrease of DPPH radical at 515nm and are mean triplicate data.
NPL MeOH 24hr > CPL MeOH3hr = CPL MeOH6hr > CPL MeOH9hr ≒EtOH3hr > CPL MeOH24hr > Water3hr > Water24hr
'상황버섯 > 상황버섯생리활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버섯 균주별 그리고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0) | 2010.03.27 |
---|---|
상황버섯에 대한 추출용매와 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분포 및 항산화 효과 (0) | 2010.03.27 |
상황버섯 균주에 따른 MeOH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0) | 2010.03.27 |
상황버섯 분획물의 TLC Pattern 비교 (0) | 2010.03.27 |
상황버섯의 균주에 따른 MeOH 추출물에 따른 HPLC Pattern 비교 (0) | 201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