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번데기흰고무동충하초

성재모동충하초 2010. 1. 1. 07:07

 

   학명은 Metacordyceps yongmoonensis G. H. Sung, J. M. Sung, Spatafora이며 동충하초 중에서 한국에서 발견된 동충하초로는 신종으로  낙엽 밑에 있는 죽은 큰번데기에서 발견되며, 3-4개의 자좌를 만든다 . 기주의 크기는 53㎜ x 15㎜이고, 흰색을 띠는 자좌의 크기는 48㎜ x 4㎜이다. 곤봉형의 자좌는 진한 회색을 띠는 20㎜ x 4㎜ 크기의 머리와 28㎜ x 2㎜인 자루로 명확하게 나누어진다. 머리에 묻힌 자낭각은 달걀 모양으로 조밀하게 퍼저 있다하며, 크기는 750-800㎛ x 450-500㎛이다. 자낭은 1렬로 배열되며, 실 모양의 자낭포자는 분열하지 않고 바로 둥근 분생포자를 만든다 . 93. 7. 3. 양평 용문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학명도 찾은 장소를 부치어 Metacordyceps yongmoonensis  로 정하였다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 > 동충하초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데기점박이동충하초  (0) 2010.01.01
번데기노랑방망이동충하초  (0) 2010.01.01
노린재동충하초  (0) 2009.12.31
큰매미동충하초  (0) 2009.12.31
유충긴목구형동충하초  (0) 200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