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항암 효과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동충하초에 83%의 대단히 높은 항암 성분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동충하초의 성장 도중에서 만들어진다고 한다. 이 성분은 전혀 부작용이 없고,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뛰어난 작용을 나타낸다. 그것은 암세포 자체의 억제와 번식 속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의미하므로, 암환자에게는 획기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우리 나라는 아직 연구 단계에 있지만,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이미 많은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6) 마약 중독 해독 효과
동충하초가 마약 중독 해독제로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최근 한 임상 실험에서 입증되었다. 최근에 와서 마약 중독 치료에 동충하초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발표되자 곧바로 임상 실험에 들어간 스위스에서는, 마약 중증 중독자도 2주일 정도만 복용하면 마약의 심각한 부작용을 말끔히 씻어 줄 뿐만 아니라, 마약에 대한 유혹까지 떨쳐 버리게 함으로써 완전히 정상적인 사람으로 되돌려 줄 수 있다는 임상 실험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실험 결과로 동충하초에 대한 연구의 전망을 한층 밝게 하고 있다.
(7) 염증 억제 효과
동충하초는 염증을 억제하므로 특히 천식에 약효가 있다. 천식을 진정시키려면 염증 억제용 생약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것은 체력을 극도로 소모시킨다. 열을 억제하면 체력이 소모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동충하초는 이 두 가지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동충하초술을 복용한 후 천식이 편해지는 것을 느껴 한달 동안 장복하여 치유했다는 보고가 있고, 동충하초를 투여한 임상 경험에서 기본적인 작용에 대한 면역력의 증강, 혈액 순환의 개선을 통한 염증 억제에 대단히 효과가 있다고 했다. 암 치료나 노화 방지에도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회춘의 작용도 있고, 그 밖에 간염, 유행성 이하선염(항아리 손님), 급성 림프절염(림프관에 있는 입상(粒狀)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 감기의 발열, 밤에 우는 것, 짜증, 유선염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했다.
(8) 마군단의 비밀
동충하초가 피로 회복 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앞에서 이미 밝혔다. 그것이, 지난 1992년, 히로시마 올림픽 육상 종목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한, 중국 육상 파워의 비밀이 되기도 했다.
중국 육상 선수 팀인 ‘마군단’은 동충하초를 병 치료가 아니고 근육 증강과 체력 회복을 위해서 이용하고 있었다. 원래, 장수나 영양 강장제로 귀하게 쓰이던 동충하초를 ‘마군단’은 전통적인 약효를 스포츠에 적절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그런 점으로 미루어, 체질이 허약한 사람에게 권하고 싶은 것이 ‘동충하초’이다. 천식에 잘 듣는 것처럼 호흡기 계통의 병에는 특히 효과가 있다. 허약 체질로 호흡기 계통이 약한 사람은 감기에도 잘 걸리게 된다. 기침을 하면 체력이 떨어지고, 체력이 떨어지면 다른 병에 걸리고 해서 악순환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동충하초는 산소 소비량을 억제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된 바 있다. 산소 소비량을 억제한다는 것은, 요컨대 일정한 운동량을 소화시키는 데 적은 양의 산소로도 된다는 것이다. 운동 선수가 심한 운동을 하면 걷고 있을 때보다 많은 산소를 소비하게 된다. 예를 들어, 50m를 전력으로 달린 사람이 격하게 호흡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산소를 급히 체내에 흡수함으로써 잃어버린 에너지를 회복하려는 자연적인 작용이다. 1992년 당시, 중국의 육상 팀 코치를 맡았던 마준인이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충격적인 증언을 함으로써 마군단의 비밀이 세상에 알려졌다.
“당신들이 우리가 무엇을 마시고 있는가를 알고 싶다면 대답해 주겠다. 우리들은 완전한 동충하초로 만든 복용액을 마시고 있다.”
이 때부터 동충하초가 신비의 약이라는 것이 전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동충하초 책 > 한국동충하초(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동충하초 맺음말 (0) | 2010.11.04 |
---|---|
V. 동충하초의 이용 3. 동충하초균을 이용한 해충 방제 (0) | 2010.11.04 |
V. 동충하초의 이용 2. 동충하초의 효능3 (0) | 2010.11.04 |
V. 동충하초의 이용 2. 동충하초의 효능2 (0) | 2010.11.04 |
V. 동충하초의 이용 2. 동충하초의 효능1 (0) | 201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