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동충하초 고서에서 현대까지 효능 규명 과정
원래 약(藥)라는 것은 음식물의 연장 선상에 있으면서도 다른 것들과 달리 신체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특별하게 취급되어 왔다. 그 좋은 예로 약초를 들 수 있다. 모든 약초는 일단섭취하고 나면 몸 속에서 일정한 효능이 발휘하기 때문에, 그 원인을 밝혀내고 해당 성분을 추출하여 현재의 의약품으로 개발 된 것이다.
약이 각각 특별한 효과를 가지고 있듯이 모든 음식물에도 각각의 효능이 있다. 신체에 흡수된 음식물은 고유의 효과를 발휘하여 직접적인 여양을 끼친다. 옛부터 질병치료를 위해서 약초를 경험에 의해서 전수 왔던바 그 효능이 뛰어나서 활용하게 되었다. 여기에 동충하초의 고서에서 현재까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충하초의 주요 작용으로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방어작용(防禦作用) : 신체표면을 외부로부터 방어하며, 바이러스나 기상등 갖가지 변화의 침입을 막는다.(면역, 방어기능)
기화작용(氣化作用) : 혈액이나 타액, 림프액등의 생성과 오즘(심폐기능), 땀으로서의 전화를 담당
추동작용(推動作用) : 신체의 여러 가지 신진대사와 생리 활동을 촉진
온구작용(溫驅作用) : 신체를 따뜻하게 하여 체온을 정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신장기능)
동충하초의 연구과정
1082년 증류본초 선화
1590년 잇진 본초강목
1600년 티벳 사용중초
1650년 인도 궁전 교과서 라마교, 서의 보감
1736년 청조 건융의서, 동충하초는 정력부활, 심장과 원기왕성
감로보고, 폐결핵허약, 성적기능장애 효능이 뛰어남
1960년 중약지
1963년 중화인민 공화국 약전
1974년 영국 글라스코대 Cunningham교수 유전정보의 핵산물질 cordycepin 성분 발견
1995년 동충하초 품질과 성분 조사
1998년 멜라토닌 생성 촉진 노화억제 성기능 촉진(동경대 金城典子)
1999년 북경대 의과대학 억강과학 연구소 신동충하초 개발 및 임상실험, 류시요 교수
2000년 강원대학교 동충하초연구팀에 의하여 생리활성 연구로 많은 결과가 보고
'동충하초 책 > 동충하초효능(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 장 동충하초란(1) (0) | 2010.11.30 |
---|---|
제 2 장 동충하초란 (0) | 2010.11.30 |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5 (0) | 2010.11.30 |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4 (0) | 2010.11.10 |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3 (0) | 201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