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26일 토요일 흐림
EBS 직업의 세계 일인자 동충하초의 세계화로 방영이 된 이후에 전화도 많고 그 전 보다 판매도 조금 늘었다. 동충하초를 받으면 거기에 설명서를 넣어 보내기 때문에 다 알 수 있지만 대부분의 질문은 어디에 좋으냐에 대하여 질문을 한다. 이 질문을 답하려면 1984년 이후에 대하여 언급을 하여야 될 것 같다. 그해는 농촌진흥청에서 강원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해로 동충하초를 처음 발견을 하였다. 그 다음부터는 동충하초와 버섯을 채집을 너무 많이 다니었는지 모르지만 1986년에 몸이 아파 내 몸무게가 50kg까지 떨어지고 너무 아픈 생활을 하였다. 그 때부터 삼각후라스크에 동충하초를 재배하여 그 끓인 물을 먹기 시작하였다. 그런 이후에는 몸도 좋아지고 지금까지 아무 문제가 없이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다. 그래서 앞으로 동충하초가 많은 사람에게 건강을 지키어 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대량 재배를 하게 되었고 지금은 한국에서 생산하는 현미를 이용하여 재배를 하고 있다.
평상시에 성재모동충하초 한통을 4리터에 넣고 끓인 다음 끓인 물을 매일 1.5리터 정도 마신다. 지금은 많이 익숙하여지어서 하루라도 먹지 않으면 찾을 정도로 친숙하여 지었다. 이것은 곤충의 유충에 동충하초가 들어가면 유충내에 있는 모든 물질을 이용하여 내생균핵이 되어 자기도 모르게 안자서 생을 다하는 것처럼 사람에게도 동충하초 물이 들어가면 모든 불 필요한 것을 내어 보내지 않나 생각이 된다. 이러한 원리는 지금 조그씩 조금씩 밝혀 지고 있다. 너무 서두르지 말고 매밀 차를 마시듯이 마시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본다. 질문을 하여 주시면 언제나 답을 하려고 한다.
'머쉬텍 > 머쉬텍동충하초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산업화가 된 성재모동충하초 (0) | 2011.12.11 |
---|---|
동충하초도 반한 현미에서 피어나는 꽃 동충하초 (0) | 2011.12.09 |
박민철 팀장이 배움을 위하여 그만 두었다. (0) | 2011.11.13 |
성재모 현미 상황버섯의 놀라운 연구 결과 (0) | 2011.09.08 |
현미화초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능 (0) | 201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