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배양 번데기동충하초의 자실체에서 정제된 F4p 및 F1의 항암 활성
정제된 F1, F4p의 구조를 확인 한 후 두 가지 물질이 어떠한 항암 활성을 보이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Sigma co에서 구입한 코디세핀과 정제된 F4p 및 F1을 각각 DMSO에 100mg/ml로 녹인 후 배지로 희석 한 후 각각의 암세포에 투여하였다. 투여한 각물질의 농도는 5, 10, 50 100 그리고 200 ug/ml의 양으로 하였다. 각각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은 MTT검색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실험된 암세포는 B16F10(흑색종), DU145(전립선암) 그리고 Hela(자궁경부암)이 사용되었다. 각 항암 물질의 항암 활성을 본 결과에 따르면 F1이 가장 항암 활성이 강한 물질임이 확인되었고, 각각의 암세포의 50%억제를 보이는 F1의 농도는 B16F10(흑색종); 8ug/ml, DU145(전립선암); 5ug/ml 그리고 Hela(자궁경부암); 4ug/ml이었다. 그리고 이미 같은 물질로 확인된 F4p와 코디세핀의 항암 효과는 거의 같은 활성을 보였다. 각각의 암세포의 50%억제를 보이는 코디세핀의 농도는 B16F10(흑색종); 70ug/ml, DU145(전립선암); 25ug/ml 그리고 Hela(자궁경부암);12ug/ml이었다.
이번 실험에서 새로운 항암 물질인 F1이 기존의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된 코디세핀 및 에르고스테롤 페록사이드보다 월등한 항암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Fig. 21)
Fig.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한 항암성분의 비교분석
'동충하초 생리활성 > 번데기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로 재배된 번데기동충하초의 급성독성실험 (0) | 2010.02.15 |
---|---|
현미에서 재배된 번데기동충하초의 항산화효과는 DPPH 라디컬 소거방법 (0) | 2010.02.15 |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 정제된 F1의 구조 규명 (0) | 2010.02.15 |
번데기동충하초 자실체에서 정제된 Compound F1 (0) | 2010.02.15 |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정제된 Compound F4p (0) | 201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