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에서 재배된 번데기동충하초의 항산화효과는 DPPH 라디컬 소거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최초 번데기동충하초를 메탄올 추출 하여 4가지 분획으로 각각 분획하였다. 이 분획들(메탄올추출물, 핵산분획, 부탄올 분획, 에틸 아세테이트분획, 물분획)을 DPPH라다컬 소거법을 통하여 각각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부탄올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이 가장 항산화 활성이 강한 분획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다른 분획들도 어느 정도의 항산화 활성이 보였는데 이것은 분획의 실수보다는 번데기동충하초에 많은 종류의 항산화성분들이 존재하여 각 분획마다 고루 분포하여 실험결과와 같은 고른 분포의 항산화활성이 보인 것으로 예상되어진다.(Fig. 22)
Fig. 22. 번데기 동충하초 각 분획의 항산화 효과(하) 및 항산화 물질 정제과정(상)
이들 여러 분획들 중 최종 항산화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부탄올분획을 선택하여 정제과정을 진행하였다. 정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최초 부탄올분획을 1차 및 2차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항암물질 정제 과정과 동일하다.2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은 7가지 분획을 각각 DPPH 라디컬 소거법을 통하여 가장 항산화 활성이 강한 분획 Si20/Si2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분획을 다시 세파덱스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를 통하여 최종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물질 2가지(F2, F3)를 확인하였다.(Fig. 22) 그러나 구조분석과정에서 F2는 세 가지 물질이 복합적으로 함유된 복합물임이 확인되었으며 수득률의 제한에 의해 더 이상의 구조 분석에는 접근하지 못하였다. 또한 F3의 1H-NMR와 FAB-MS 스펙트럼은 F3일반적으로 자연계에 분포하는 항산화 물질인 Flavon계통의 분자량 340의 물질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자연계에 존재하는 Flavon계통의 물질들은 여러 가지 side 잔기에 의해 그 항산화 활성이 틀려지게 되는데, NMR상에서 aliphatic 스펙트럼이 보여 지는 것으로 보아 aliphatic잔기가 Flavon 뼈대에 붙어 있는 물질임을 예상 할 수 있었다. 그러나 F2와 마찬가지로 수득률의 제한에 의해 완벽한 구조 예상은 성공하지 못하였다(Fig. 23) 이번 실험을 통하여 번데기 동충하초에 여러 가지 무수한 항산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예상 할 수 있었고, 그 중 F3라는 항산화 물질을 정제 할 수 있었다.(Fig. 24)
Fig. 23. (A): 항산화 물질(F2, F3)의 TLC분석 (B) : F3의 HPLC분석
(C): Flavone (D): F3의 1H-NMR
Fig. 24. 번데기 동충하초에서 분리한 항산화물질의 항산화효과
'동충하초 생리활성 > 번데기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로 재배한 번데기동충하초에 대한 Tea-bag의 항산화 효과 (0) | 2010.02.15 |
---|---|
현미로 재배된 번데기동충하초의 급성독성실험 (0) | 2010.02.15 |
현미배양 번데기동충하초의 자실체에서 정제된 F4p 및 F1의 항암 활성 (0) | 2010.02.15 |
번데기동충하초에서 분리 정제된 F1의 구조 규명 (0) | 2010.02.15 |
번데기동충하초 자실체에서 정제된 Compound F1 (0) | 201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