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개미동충하초의 신비함을 보다.
2014년 12월 27일 날씨가 많이 풀리었지만 아직도 눈이 많아 남아있는 일요일입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로 받았네요. 어제는 창녕군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홍성택주무관한테 전화가 왔다. 가시 개미에 동충하초가 나왔는데 교수님뿐이 자문을 받을 사람이 없어 전화를 걸었다고 한다. 먼저 메일을 알려 주고 사진을 보내달라고 하였더니 사진이 왔다. 한국에서는 처음 보는 동충하초다. 그것도 한 마리가 아니고 여러 마리에서 동충하초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말이다. 오늘은 가시개미동충하초 사진을 올려놓고 어떻게 개미가 동충하초를 형성하기 위하여 더듬이, 큰 턱과 다리를 나무에 접착하면서 개미가 죽을 수 있을까 신비할 뿐이다. 우리 도반님과 함께 보고 우리도 하는 일에 그렇게 최선을 다할 수 있을까? 질문을 던저 본다. 오늘도 도반님 편안하고 행복하신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가시개미
창녕군 농업기술센터 농축산유통과에 근무하고 있는 홍성택이라고 합니다. 잠자리에 지대한 관심이 많은지라 잠자리 동충하초 관련으로 많은 자문 부탁드리겠습니다. 사진은 가시 개미에 기생한 동충하초로 생각되어 집니다. 가시 개미는 일본왕개미에 주로 기생하는 개미인데 그 개미에 다시 기생하는 동충하초 일거라 생각이 들어 잼 이난 생태스토리를 기대하고 관찰하려 합니다.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 > 동충하초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德을 가진 매미에서 형성된 동충하초를 정리하여 보았다. (0) | 2015.01.26 |
---|---|
동충하초를 2회 탄생시키는 노린재의 삶? (0) | 2015.01.21 |
동충하초를 연구를 시작하였을 때를 되돌아 보다. (0) | 2014.11.11 |
버섯학속에 동충하초라는 소제목으로 교학사에서 출판된다. (0) | 2014.11.09 |
유충부리동충하초를 찾기 바라면서 하루를 보내다. (0) | 201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