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를 2회 탄생시키는 노린재의 삶?
2015년 1월 21일 새벽에 일어나니 맑고 밝고 따뜻한 기운을 맞이 할 수 있는 수요일입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로 받았네요. 어제는 대설인데도 날씨가 아주 따뜻하여 평안하게 보내었다. 노린재동충하초를 보면서 노린재는 냄새가 좋지 않고 작물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좋지 않은 해충으로 알리어지었다. 그러나 나에게는 동충하초를 채집하는데 제일 처음 볼 수 있는 것이 노린재동충하초이고 이 동충하초를 찾으므로 다른 많은 동충하초를 찾을 수 있는 계기를 준다.
노린재는 첫해는 노린재동충하초(Ophiocordyceps nutans(Pat,) G.H. Sung, J.M. Sung Hywel-Jones & Spatafora)를 형성시킨 후 다음해 그 자리에서 모습이 아주 다른 노린재부리동충하초(Ophiocordyceps Pentatomae(Koval) G.H. Sung, J.M. Sung Hywel-Jones & Spatafora)를 형성한다. 자기 몸이 다 할 때까지 동충하초에게 모든 것을 내어 주는 노린재의 삶도 신비스럽지만 노린재동충하초가 나온 다음해에 노린재부리동충하초가 형성되는 것도 알 수 없는 의문과 의문이 일어난다. 또 노린재 상태로는 냄새가 나지만 노린재동충하초를 먹어 보면 맛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동충하초를 만나고부터 우리주위에 일어나는 생명체의 오묘함을 보면서 우리 인간으로는 해결 할 수 없는 신비함을 볼 때마다 아무 것도 알지 못하고 시간만 보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늘은 노린재에서 형성되는 동충하초를 올려놓고 이러한 현상이 알려질 날이 오기를 기대하여 본다. 오늘도 인연이 있는 도반님 편안하고 행복하신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 > 동충하초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충기생균으로부터 이병되어 삶을 마감한 유충 (0) | 2015.02.04 |
---|---|
5德을 가진 매미에서 형성된 동충하초를 정리하여 보았다. (0) | 2015.01.26 |
가시개미동충하초의 신비함을 보다. (0) | 2014.12.28 |
동충하초를 연구를 시작하였을 때를 되돌아 보다. (0) | 2014.11.11 |
버섯학속에 동충하초라는 소제목으로 교학사에서 출판된다. (0) | 201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