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동충하초를 연구를 시작하였을 때를 되돌아 보다.

성재모동충하초 2014. 11. 11. 05:44

동충하초를 연구를 시작하였을 때를 되돌아 보다.

20141111일 화요일로 어떠한 경우에도 화를 내지 말아야 할 날입니다. 새벽에 일어나면 북두칠성을 비롯하여 달과 신선한 공기와 멀리서 들려오는 소리가 나를 반긴다. 맑고 밝은 눈을 가지기 위하여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토담집에서 보낸다. 갑자기 동충하초를 발견하였을 때의 생각이 난다. 1984년 강원대학교로 자리를 옮기고 강원대학교 연습림에서 발견한 번데기에서 나온 번데기동충하초에 매료되어 지금까지 연구와 산업화에 매진하는 삶을 살아왔다. 채집하면 먼저 사진을 찍고, 연구실로 와서 균을 분리하고, 현미경으로 미세구조를 보고, 채집날짜와 장소에 따라 균주목록과 표본을 만들었다.

 

그러고 나서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자실체를 형성시키었는데 처음에는 삼각푸라스크를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시킨 것이 모태가 되어 많이 생산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오늘은 제일 처음 발견한 번데기동충하초의 생활사와 현미로 만든 성재모동충하초를 올려놓고 앞으로도 동충하초 연구와 산업화에 매진하려고 한다. 고맙고 고맙습니다. 더욱 건강하시고, 날마다 좋은 날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