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HPLC를 이용한 각 추출물의 분석
Methanol 추출물의 UV scanning spectrum 결과 파장이 269nm에서 최대 흡수를 갖는 것을 알았으며, 동충하초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HPLC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pattern을 비교하였다(Fig. 11). HPLC pattern을 detection하기 위하여, methanol 추출물을 reverse phase column으로 분리하여 HPLC pattern을 비교 하였을 때, 7개의 major peak(retention time 이 각각, 11.7, 13.7, 18.3, 23.7, 27.4, 29.6 및 40분)이 보였다. 이러한 7개의 major peak은 각각의 분획으로 나뉘어 분리가 되었으며, hexane 추출물에서는 43.6분의 major peak이 보였으며, buthanol 추출물에서는 40.3분의 major peak,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는 29.5분에서 peak이 보이며, water추출물은 11.7분, 18.3분, 24.4분과 27.5분의 4개의 주요 peak을 보였다(Table 3). Blank로 사용된 DMSO의 peak 에서는 작은 peak이 보여, 용매로 사용된 DMSO는 HPLC 분리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보면, polar한 용매(warer, methanol 등)는 polar한 성분을 추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non polar한 용매인, hexane, butanol등은 비극성의 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하면, 각 추출물의 주요 peak이 다르다는 사실은, 각 추출물은 각각 다른 주요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각 추출물의 성분은 독특한 서로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methanol (2) hexane
(3) n-butanol 4) ethyl acetate
(5) water (6) DMSO
Fig. 11 HPLC pattern of Cordyceps staphylindaecola fraction.
Table 3. Major HPLC peaks from Cordyceps staphylindaecola
Fraction |
HPLC Retention Time (min) | |||||||
peak number |
1 |
2 |
3 |
4 |
5 |
6 |
7 |
8 |
Methanol fraction |
11.1 |
13.9 |
18.2 |
24.3 |
27.4 |
29.7 |
40.3 |
- |
Hexane fraction |
- |
- |
- |
- |
- |
- |
- |
43.6 |
Buthanol fraction |
- |
- |
- |
- |
- |
- |
40.3 |
- |
Ethyl Acetate fraction |
- |
- |
- |
- |
- |
29.7 |
- |
- |
Water fraction |
11.5 |
13.8 |
18.2 |
24.3 |
27.4 |
- |
- |
- |
'동충하초 생리활성 > 노랑다발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다발 동충하초 (Cordyceps staphylindaecola)의 항암 효과 (0) | 2010.03.01 |
---|---|
노랑다발동충하초의 항염효과 (0) | 2010.03.01 |
SDS-PAGE gel상에서 apoB-100의 protection 비교 (0) | 2010.03.01 |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통한 mobility의 변화 (0) | 2010.02.28 |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