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생리활성/노랑다발동충하초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통한 mobility의 변화

성재모동충하초 2010. 2. 28. 18:06

6.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통한 mobility의 변화

각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agarose gel 상에서 mobility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산화된 LDL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상에서 mobility의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mobility의 변화는 LDL이 산화되면서 apoB-100의 charge가 positive한 쪽에서 negative한 쪽으로 charge가 변하기 때문이다. Fig. 7과 Fig. 8와 같이 정상적인 LDL의 경우에 비해 산화된 LDL은 mobility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충하초의 각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 LDL의 mobility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methanol추출물에 의한 mobility의 변화(Fig. 7)에서는 500ug, hexane추출물은 300ug, buthanol 추출물은 500ug, ethyl acetate 추출물은 400ug, water 추출물은 1000ug이 필요하였다(Fig. 8). 그러므로, hexane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에 methanol 및 ethyl acetate 추출물이었고, water 추출물에서는, LDL의 mobility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여기서 hexane 추출물은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적은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정상적인 LDL의 mobility와 비슷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     500    1000    1500    2000 (단위 : ㎕)

                                                               ↓      ↓     ↓      ↓

 

(-)

 

(+)

 

                             1   2    3    4    5   6   7    8    9   10

1. Methanol 추출물의 양

 

1

2

3

4

5

6

7

8

9

10

 

Sample(ul)1

100

200

300

400

500

1000

1500

2000

H2O

DMSO

 

Fig. 7 Mobility chages with addition of methanol fraction from Cordyceps staphylindaecola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Hexane       n-butano           ethyl acetate               water                                300 400 500 1000 (단위 : ㎕) 500 1000 (단위 : ㎕) 300 400 500 1000 (단위 : ㎕) 500 1000 (단위 : ㎕)

 

 

 

 

 

Fig. 8 Changes of mobility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ordyceps staphylindaecola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