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젊은 과학자들의 동충하초 연구가 필요하다.

성재모동충하초 2015. 7. 31. 04:32

젊은 과학자들의 동충하초 연구가 필요하다.

2015 7 317월의 마지막 날도 날씨가 너무 덥지만 자기 자신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주말인 금요일입니다. 오늘도 또 하루를 선물 받았네요성재모동충하초를 재배하기 위하여 현미에 물을 넣고 121C에 살균을 하여 살균기에서 꺼집어 내면 옷이 다 젖을 정도로 땀이 난다. 이열치열이 맞은 말로 동충하초를 재배하면서 더위도 모르고 여름을 보내고 있다. 동충하초를 하면 30년 전부터 누가 일려주지 않아도 상자를 만들어 나름대로 채집일자 장소와 일연번호를 매기어 보관을 표본에 지금은 많은 연구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

동충하초를 발생하는 백강균에 이병된 하늘소를 채집한지 벌써 10년이 넘었는데 더드미와 날개와 다리가 하나도 상하지 않고 있다. 무슨 물질이 있기에 무슨 조화로 그대로 유지 할 수 있을까? 의문 투성이다. 표본으로 보여 주었으니 한국에서 후배 젊은 과학자들이 왜 10년이 지니가도 그대로 유지하는가를 구명하여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 이제 지식도 짧고 나이가 들었으니 이렇게 바랄 수 밖에 없다. 오늘은 백강균에 이병된 하늘소동충하초를 올려놓고 왜 그대로 유지하는지를 밝혀지기를 바라면서 여유롭게 잘 보내려고 한다. 오늘도 인연이 있는 도반님 편안하고 행복하신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