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동충하초의 형성과정을 보면서 심우도를 생각하는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었다.

성재모동충하초 2015. 5. 4. 04:41

동충하초의 형성과정을 보면서 심우도를 생각하는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었다.

2015 545월 들어 다시 한주가 시작되는 월요일입니다. 오늘도 또 하루를 선물을 받았네요. 어제는 비가 와서 동충하초의 형성 과정을 보면서 심우도를 생각하게 되었다. 심우도는 소를 찾는 과정을 단순하게 그리고 있는 것 같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의 본성을 찾아 깨달음의 세계에 이르는 깊고 심오한 선종의 사상을 담고 있다. 그 열 단계의 과정을 다시 정리해보면, ‘심우는 불도의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일으키는 발보리심(發菩提心)을 나타내고, ‘견적에서 기우귀가까지는 수행의 과정을, ‘망우존인인우구망은 보리심을 성취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반본환원은 열반의 경지에 진입하는 모습을, ‘입전수수는 깨달음을 얻은 뒤에 중생을 제도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목우 기우귀가에서 소가 흰색으로 변하는 것을 상상적으로 표현하였지만 동충하초는 곤충의 유충에 들어가면 유충에 풀을 먹으면 그 풀을 이용하여 서로 공생하면서 살다가 동충하초의 색갈로 변하면서 곤충이 동충하초로 바꾸어 지는 과정으로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와 좌탈입망을 하는 과정을 잘 보여 준다. 오늘은 큰매미동충하초의 사진과 함께 자좌와 자낭과 자낭포자를 올려놓고 동충하초의 일생을 보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오늘도 보람이 있고 행복한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