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인증을 한 품종보호료 납부통지서를 받는 즐거움.
2016년 4월 2일. 부인은 춘천에 나가고 혼자서 내가 누구이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토요일입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 받았네요. 어제는 노랑다발동충하초(Cordyceps bassiana)를 가지고 현미로 재배하여 인섹라워플라스(inseclowerplus)로 곤충의 꽃이라는 뜻으로 등록된 품종보호료 납부통지서를 국립종자원으로부터 받았다. 품종등록도 하고 연구를 하여 임상실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었으니 언젠가는 노랑다발동충하초도 성재모동충하초처럼 산업화 될 날이 오리라 본다.
그날을 위하여 균주를 잘 보존하고 현미를 이용하여 자실체를 잘 형성시키는 연구를 하다 보면 한국에서 자생하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원이 탄생하게 되고 산업화 시키기 위하여 바른 마음으로 부지런히 정진하는 것이 과학자가 할 일이라고 본다. 오늘은 노랑다발동충하초 현미에서 자실체를 형성된 사진과 함께 품종등록증을 올려놓고 오늘도 여유롭고 걸림이 없는 하루를 보내려고 한다. 오늘도 인연이 있는 도반님 편안하고 행복하신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동충하초지적재산권 > 동충하초품종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이름으로 품종등록한 성재모동충하초란? (0) | 2017.02.01 |
---|---|
국가에서 받은 품종에 대한 등록료를 내는 즐거움. (0) | 2017.01.24 |
2015 민간육종가 등록신품종에 들어간 현미화초 (0) | 2016.03.12 |
국립종자원으로부터 현미화초의 품종보호권등록증을 받았다. (0) | 2015.04.13 |
노랑다발동충하초 품종보호료 납부 통지서를 받았습니다.. (0) | 201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