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노랑다발 동충하초 butanol 추출분획(CBBF) 처리 후 혈청 Ig E 수준의 변화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하고 노랑다발 동충하초 추출물을 12일간 환부에 도포한 다음 혈중 IgE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Figure 3에 제시한다. 혈중 IgE 농도는 normal control에서 5,314 ± 404 ng/ml이었다. Atopy control에서 혈중 IgE 농도는 29,254 ± 2,489 ng/ml로 normal control의 측정치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CBBF 투여 후 5,629 ± 509 ng/ml로 감소하여 normal control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Fig. 70).(39,40,41).
Fig. 70. Changes of the serum IgE level in NC/Nga mice. The serum concentration of IgE was determined using mouse IgE‐specific ELISA kits. Each bar represents mean ± SE of 6 mice.
'동충하초 생리활성 > 노랑다발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다발동충하초 CBBF 처리 후 피부염 환부의 interleukin-4 발현 (0) | 2010.03.02 |
---|---|
노랑다발 동충하초 CBBF 처리 후 피부염 환부의 interferon-gamma 발현 (0) | 2010.03.02 |
노랑다발동충하초 butanol추출분획(CBBF) 처리후 피부염 환부의 조직 변화 (0) | 2010.03.02 |
노랑다발동충하초 butanol 추출분획(CBBF) 처리후 피부염 환부 육안적 변화 (0) | 2010.03.02 |
5종의 노랑다발동충하초 균주의 항산화 비교 실험 (0) | 2010.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