뇨량에 미치는 영향
양성 대조물질로 사용한 furosemide는 현재 이뇨제로 사용하는 약물로 Henle 고리 상행각에서 Na+ 및 Cl-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이뇨효과를 나타낸다.133)
승홍을 투여하여 급성 신독성을 유도한 후, 배양목질진흙버섯 자실체 및 자연산 상황의 MeOH ex.를 농도별로 경구 투여한 후 시료의 이뇨효과를 furosemide 투여군과 비교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5.1, 5.2).
승홍에 의해 신독성이 유발된 음성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한 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Furosemide를 투여한 양성대조군에서는 0-2시간 사이에서 현저한 뇨량의 증가를 나타내고, 그 후에는 급격한 뇨량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합성약품의 강압적이고도 일시적인 이뇨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배양목질진흙버섯 자실체 및 자연산 상황의 투여군에서는 대체로 농도 의존적으로 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완만하면서 지속적인 뇨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 뇨량은 배양목질진흙버섯 자실체 및 자연산 상황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뇨량의 증가를 보였고, 배양목질진흙버섯 자실체의 500 mg/kg/day 투여군과 자연산 상황의 250 mg/kg/day 투여군과 500 mg/kg/day 투여군에서는 furosemide를 투여한 양성대조군 보다 우수한 이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상황은 복령이나 저령과 마찬가지로 이뇨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황버섯 > 상황버섯생리활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버섯이 혈청인자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
상황버섯이 뇨중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상황버섯의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상황버섯의 LDL 산화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상황버섯에서 분리한 물질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