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L 산화에 미치는 영향
DPPH법에 의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화합물 Ⅶ의 LDL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LDL에 화합물 Ⅶ을 농도별로 가하고 Cu2+-induced oxidation을 실시 후, TBARS assay를 측정한 결과 화합물 Ⅶ은 LDL 산화에 대해 아스코르빈산보다 더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작용을 보였다
Effects of Compound Ⅶ from Phellinus linteus on LDL lipid
peroxidation
Sample |
IC50 (㎍/ml) |
Ascorbic acid |
3.87 |
Compound Ⅶ |
2.34 |
IC50 : Required sample concentration (㎍/ml) for 50% inhibition of Cu2+- induced LDL (mg protein) lipid peroxidation
Compound Ⅶ : 4-(3'4'-Dihydroxyphenyl)-3-butene-2-one
'상황버섯 > 상황버섯생리활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버섯이 뇨량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
상황버섯의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상황버섯에서 분리한 물질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0) | 2010.04.03 |
상황버섯의 화합물 Ⅶ의 확인동정 (0) | 2010.04.03 |
상황버섯의 화합물 Ⅵ의 확인동정 (0) | 201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