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일지 2021-12-28(화)
20211228 한국의 동충하초. Ⅲ. 동충하초 종류. 44. 노랑다발동충하초
2021년 12월 28일. 오늘도 우리 남은 인생의 첫날을 맞이하는 화요일로 새벽에 일어나니 밝은 달과 별로부터 기운도 받아 즐겁게 보낼 수 있는 즐거운 날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삶을 이끌어 주는 성재모동충하초(http://sungjaemo.com)를 돌보고 나서 성재모동충하초비로를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시고 나니 가벼운 몸과 마음으로 컴퓨터 앞에 앉아 글을 쓰면서 성원하는 모든 친구님에게 고마운 마음을 주고받고 싶습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로 받았네요.
노랑다발동충하초는 1995년 9월 16일 춘천 근교 오봉산에서 단 한 번 채집한 동충하초로 균을 분리하여 자실체를 형성한 결과 자실체도 잘 나오고 잘 나온 자실체를 가지고 생리활성 연구를 한 결과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었으나 이에 관한 연구를 이제는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인연이 되어 노랑다발동충하초를 조금 더 연구한다면 좋은 유전자원으로 자리를 매김 할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앞으로 인연이 다면 연구를 할 준비는 다 되어 있으니 좋은 인연을 만나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오늘은 이미 번데기동충하초에서 균주를 분리하여 현미로 재배한 성재모동충하초에 대한 유래와 동영상을 올려놓고 이러한 인연 공덕으로 횡성 산골농촌마을에서 이곳에서 생산하는 현미와 이곳 주민들과 생활을 하기 위하여 고마운 마음으로 성재모동충하초생초 동영상을 만드는 즐거움이라는 제목으로<https://m.blog.naver.com/cordyceps1/222606025685> 올려놓으니 앞으로 성원하여 주기 바랍니다.
오늘은 노랑다발동충하초와 함께 성재모동충하초 제품화한 제품을 올려놓고 언제나 자중하고 인내하는 마음으로 무리하지 않고 바르고 천천히 흔들림이 없이 그냥 가면서 성재모동충하초와 함께 걸림이 없는 마음으로 하는 일에 부지런히 정진하려고 한다. 우리 모두 사는 동안 최선을 다해 후회 없는 삶을 살았음 좋겠습니다. 그저 물처럼 흐르는 인생으로 늘 행복하고 웃음 가득 찬 나날이 되기를 기원합시다. 더욱 건강하시고, 범사가 잘 되는 복을 누리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고 고맙습니다.
문의 : 010-4872-5936
주문
성재모동충하초 머쉬텍 제품 http://naver.me/5rLTrzqo
성재모동충하초 현미밥알칩 http://me2.do/F36egE3F
성재모동충하초 현미강정 http://naver.me/GUvhYm9X
동충하초 http://sungjaemo.com http://blog.daum.net/cordyceps
#건강한농부 #닥터성재모코디셉스 #동충하초 #동충하초효능 #동충하초면역원 #머쉬텍 #성재모 #성재모동충하초 #성재모동충하초건초 #성재모동충하초비로 #성재모동충하초생초 #식약사 #신우곰탕 #웅진생활건강 #윤토마 #최순옥 #하심정 #현미강정 #현미밥알칩 #현미동충하초 #횡성 #횡성새말양봉
44. 유충노랑다발동충하초(Cordyceps bassiana Z.Z. Li, C.R. Li, B. Huang & M.Z. Fan.)
땅속에 있는 죽은 유충에서 발견되며, 1개의 자좌와 분생포자를 동시에 형성한다. 밝은 노란색의 자좌는 전체 길이가 45㎜이고, 17 x 4㎜ 크기의 머리와 28㎜의 자루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경계는 뚜렷하지 못하다. 자낭각은 머리에 조밀하게 분포하고, 그 크기는 530˞550 x 290˞300㎛이며, 자낭은 400˞450 x 1˞1.5㎛이다. 자낭포자는 실모양이나, 2차 포자로 분열한 후 바로 둥근 2차 포자를 형성한다.
44. Cordyceps bassiana Z.Z. Li, C.R. Li, B. Huang & M.Z. Fan.
On subterranean larvae (unidentified) and forming both a stroma and conidia simultaneously. The stroma is bright yellow, 45 ㎜ long, and consists of a somewhat swollen fertile part, 17 × 4㎛, and stipe, 28 ㎜ long, with an indistinct separation between the two parts. The immersed perithecia are ovoid, 530˞550 × 290˞300㎛, and heavily distributed over the fertile part. Asci are 400˞450 × 1˞1.5㎛, with filiform ascospores that dissociate to produce globose secondary conidia right after it divides into secondary part-spores.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 > 동충하초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동충하초. Ⅲ. 동충하초 종류. 46. 붉은자루동충하초 (0) | 2022.01.02 |
---|---|
한국의 동충하초. Ⅲ. 동충하초 종류. 45. 깍지벌레동충하초 (0) | 2021.12.29 |
한국의 동충하초. Ⅲ. 동충하초 종류. 43. 황색다발동충하초 (0) | 2021.12.23 |
한국의 동충하초. Ⅲ. 동충하초 종류. 42. 개미긴자루동충하초 (0) | 2021.12.18 |
한국의 동충하초. Ⅲ. 동충하초 종류. 41. 박쥐나방동충하초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