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생리활성/붉은자루동충하초

붉은자루동충하초에 대한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성재모동충하초 2010. 7. 3. 15:28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1) LDL 산화 억제 실험:

LDL은 동맥경화의 risk factor(위험인자)로 알려지고 있으며, 인체의 혈중에 LDL이 높으면 직결적으로 동맥경화 발생과 비례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동맥경화의 발병기작은 현재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는 않지만, 초기에 혈액중의 LDL이 동맥의 ECM(extra cellular matrix)에 들어가 일차적으로 산화되어 산화LDL(oxidized-LDL)이 형성되면 macrophage와 결합되어 거품세포(foam cell)가 형성되어 동맥경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규명되고 있어, 본 실험에서는 붉은자루동충하초가 LDL을 어느정도 산화억제 시킬수 있는지를 실험하기 위하여, 인체의 혈액에서 LDL을 순수분리, 정제하여, 각 용매의 분획물을, LDL에 첨가한후, 산화를 위하여 CuSO4(16uM)를 첨가한후, 37oC에서 2hr, 4hr 배양(incubation)한 후, TBARS 방법으로 LDL의 산화 억제도를 측정하였다. 이 경우 어떠한 용매의 분획물이 가장 동맥경화억제 효능이 높은지를 IC50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LDL 산화에 대하여 각 용매 추출물의 다양한 농도를 0~1000mg/ml(ug/ul)을 첨가하여 LDL 산화에 의한 MDA 생성 정도를 TBARS방법 (Table 4 )으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LDL을 copper로 산화 시키면, MDA값이 증가하게 되지만, 각 용매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는 분확물농도 증가에 따라, LDL의 MDA형성값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이러한 붉은자루동충하초의 분획물은 LDL 산화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 Fig. 5 ).

 

Table 4. LDL의 TBARS 조성표

( 단위 : ㎕ )

 

Control

 

 

 

 

 

 

 

 

1

2

3

4

5

6

7

8

9

10

control &

sample conc.

H2O

DMSO

PBS

0

100

200

300

400

500

1000

LDL

312

312

.

312

312

312

312

312

312

312

sample

(동충하초: 5mg/ml)

0

0

0

0

5

10

15

20

25

50

H2O

60

.

.

.

.

.

.

.

.

.

DMSO

.

60

.

.

.

.

.

.

.

.

PBS

612

612

984

672

667

662

657

652

647

622

Copper

16

 

Figure 5. Cordyceps pruinosa Methanol fraction의 LDL 산화억제 효과(TBARS)

 

TBARS의 결과 수치를 percentage로 환산하여, IC50으로 각 추출물의 산화억제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중에서 2hr incubation시 ethyl acetate 분획물(IC50=40mg)과 butanol 분획물(IC50 = 50mg), 4시간 incubation시 butanol 분획물(IC50 = 160mg)과 ethyl acetate 분획물(IC50 = 170mg)등이 다른 용매보다 좋은 LDL 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Fig. 6 ). LDL 산화에 의한 TBARS형성 결과(2hr 및 4hr 산화 이후의 IC50를 비교(단위 : ug/ul)하였을때 다음의 결과와 같았다.

 

⊳2시간 Incubation

IC50 : Ethyl acetate ex.(40mg) > Butanol ex.(50mg) >

Methanol ex.(150mg) > Hexane ex.(165mg) > Water ex.(180mg)

 

 

 

⊳4시간 Incubation

IC50 : Butanol ex.(160mg) > Ethyl acetate ex.(170mg) > Water ex.(200mg) >

Ascorbic acid(250mg) > Methanol ex.(305mg) > Hexane ex.(410mg)

 

Figure 6. Incubation time 에 따른 LDL 산화억제 효과(TBARS)

 

 

LDL의 TBARS 결과 - 2hr & 4hr의 IC50 비교도(단위 : ug/ul(mg/ml))

 

Incubation time

& IC50

Methanol

ex.

Hexane

ex.

Butanol

ex.

Ethyl acetate

ex.

Water

ex.

Ascorbic acid

2 hr

150

165

50

40

180

 

4 hr

305

410

160

170

20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