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한 LDL의 mobility 변화
산화된 LDL(oxidized-LDL)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상에서 mobility의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mobility의 변화는 LDL이 산화되면서 apoB-100의 charge가 positive한 쪽에서 negative한 쪽으로 charge가 변하기 때문이다( 산화된 LDL은 lysine 잔기의 + charge가 줄어들면서 negative 한쪽으로의 mobility를 보이며, 붉은자루동충하초 sample에 의해 protection 된다 ). Figure 7-11에서는 2hr incubation 산화시의 이런 mobility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붉은자루동충하초의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별로 첨가시켰을 때, 농도를 많이 첨가할수록 mobility가 정상적인 LDL의 mobility와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butanol, ethyl acetate fraction에서는 농도 100mg/ml에서는 sample에 의한 mobility protection을 보이다가 농도 200mg/ml부터는 다시 negative로의 mobility 변화를 보이며, 4hr incubation 했을 때는 다른 fraction과 같은 mobility변화를 보여주었다( data로 보여지지 않음). 따라서, 산화시간에 따라 IC50과 agarose gel상의 mobility 모습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3) SDS-PAGE를 이용한 LDL의 apo-100 protection 비교
동충하초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효과를 좀더 확인하기 위하여 SDS-PAGE상에서 LDL성분인 apoB-100의 degradation 정도를 살펴보았다. Figure 7-11 에서는 동충하초의 용매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는 LDL 산화로 인한 apoB-100의 degradation을 동충하초 추출물이 protection 됨을 알 수 있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이 가장 protection 정도가 높았으며 water 분획물이 가장 효과가 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 단위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control & sample conc. |
H2O |
DMSO |
PBS |
0 |
100 |
200 |
300 |
400 |
500 |
1000 |
LDL |
312 |
312 |
. |
312 |
312 |
312 |
312 |
312 |
312 |
312 |
sample (동충하초: 5mg/ml) |
60 |
60 |
984 |
0 |
5 |
10 |
15 |
20 |
25 |
50 |
500 1000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Fig. 7 Protection of Apo B-100 of LDL
by Cordyceps pruinosa Methanol fraction against to LDL oxidation
&
Mobility changes with addition of Methanol fraction
from Cordyceps pruinosa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 단위 : ㎕ )
|
1 |
2 |
3 |
4 |
5 |
6 |
7 |
control & sample conc. |
0 |
100 |
200 |
300 |
400 |
500 |
1000 |
LDL |
312 |
312 |
312 |
312 |
312 |
312 |
312 |
sample (동충하초: 5mg/ml) |
0 |
5 |
10 |
15 |
20 |
25 |
50 |
'동충하초 생리활성 > 붉은자루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TT Assay에 의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효과 (0) | 2010.07.04 |
---|---|
붉은자루동충하초 급성독성실험 (0) | 2010.07.04 |
붉은자루동충하초에 대한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0) | 2010.07.03 |
식물성기름의 산화억제효과 (0) | 2010.07.03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DPPH에 의한 산화억제 실험 (0) | 2010.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