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붉은자루동충하초의 메탄올 추출물의 TNF-α와 IL-1β생성에 대한 효과
anti-inflammatory cytikine의 생성에 있어서의 CPME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에 LPS로 활성화 시킨 후에 여러 가지 농도의 CPME를 친 후에 세포배양액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anti-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pro-IL-1β는 세포에서 합성되어 cytoplasmic membrane에 위치한 caspase-1에 의해서 mature한 form으로 형성되는데 IL-1β의 양을 억제하여 이 cytoline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Fig 23).
Fig. 23. Effect of the CPME on production of TNF-α and IL-1β in LPS-stimulated RAW264.7cells.
Cells were treated with LPS (1 ㎍/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PME for 6 h. The extracellular levels of TNF-α (A) and IL-1β (B) were measured in culture media using commercial ELISA kits. Data in (A) and (B) are show the mean ± SD (n=4). *, p<0.05; **, p<0.01 versus LPS alone. (C) Intracellular IL-1βlevel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using a polyclonal antibody for IL-1β. The membrane was rehybridized with antibody against β-actin to verify equal loading of protein in each line.
'동충하초 생리활성 > 붉은자루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4) (0) | 2010.07.18 |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3) (0) | 2010.07.18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1) (0) | 2010.07.18 |
붉은자루동충하초추출물 및 분획물의 정상세포에 대한 영향 (0) | 2010.07.04 |
MTT Assay에 의한 붉은자루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효과 (0) | 201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