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CPME의 NF-κB활성저해효과
NFκB 활성은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발현되는 iNOS, COX-2 그리고 여러 cytokine의 발현에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앞에서 실험한 결과 iNOS, COX-2 그리고 cytokine의 발현을 CPME가 억제하였기에 EMSA방법을 통해서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NFκB 활성을 측정한 결과 CPME는 NFκ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 COX-2 그리고 cytokine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Fig 25)
'동충하초 생리활성 > 붉은자루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쐐기번데기에 형성된 동충하초 모양 (0) | 2010.07.18 |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5) (0) | 2010.07.18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3) (0) | 2010.07.18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2) (0) | 2010.07.18 |
붉은자루동충하초의 항염물질의 생리활성확인(1) (0) | 201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