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책/동충하초효능(책)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2

성재모동충하초 2010. 11. 6. 16:07

3. 1700년대 이후 동충하초 

  동충하초가 유롭에 소개 된 것은 1726년 Reaumur, Memoire de I'Acad. Sci. Paris(1726) : 302, pl. 16부터 시작되었다. 1727년 번데기동충하초가 학술적으로 처음으로 Clavaria militaris 와 Clarvaria ophioglossoides가 발표되었고 그 후 1736년에는 Chinese Caterpillar fungus가 알려졌고 초기는 많은 흥미를 끌었다. 그 후 1754년 Torrubia가 서인도 제도에서 발견되었다. 1757년 청나라 당시의 오이락이 저술한 식물학 책인 본초 종신 속에 동충하초는 폐를 보호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특히 기관지출혈을 멈추게 하고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하였다. 가장 좋은 동충하초는 사천가정부에서 생산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1833년 Link가 Cordycps Link로 Handb. 3:347에 보고한 후 본격적으로 연구를 하게 되었고 1892년 Cooke는 동충하초에 관한 책을 출간하면서 제목을 'Vegetable Wasps and Plant Worms'라고 하여 영어 명칭이 Cordyceps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 후 1926년 Petch에 의하여 Studies in Entomogenous Fungi라는 제목으로 영국잡지인 Transaction British Mycological Society에 논문 발표하였고 미국에서는 1934년 Edwin B. Mains가 The Genera Cordyceps and Ophiocordyceps in Mishigan라는 제목으로 Mycologia에 발표하면서 본격저으로 동충하초연구가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1933년 Kobayasi가 1984년 동충하초균도감을 낸 이후 많은 저서가를 출판하여 동충하초의 형태적으로 분류체계를 확립하였다. 한국에서는 성재모에 의하여 1996년 한국의 동충하초를 형태적인 기준을 통하여 출판하였다 . 그러나 형태적이 특징을 가지고 분류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어 분자 생물학적인 방법을 첨가하여 분류체계를 확립하여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Cordyceps and the clavicipitaceous fungi라는 제목으로 Studies in Mycology 57(2007)로 발표를 하여 지금은 이 방법 대로 동충하초를 분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