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동충하초 효능 연구
일본의 경우, 1801년 에도시대의 본초서에 동충하초는 약효가 뛰어나 폐병이나 늑막염에 특효약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오래전부터 팜내까지 하였다. 또 1994년 동충하초연구회회징인 고교의박원장이 기적을 부르는 동충하초라는 책을 내었고 1996년 의사인 이단인랑과 거추신부 일본동충하초회원으로 일본동충하초말기 암의 도전이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중국에서 1960년경 티벳약물을 조사하여 1971년 출판한 티벳상요중약초에 동충하초가 처음으로 소개 되었다.여기서 중의약에서 본 동충하초 연구에 의하면 1969년의 중화의약잡지에 결핵균에 유효하다는 보고가 있다. 그 후 1972년에 청해성 생물연구소의 청해고원 약물도감에 의하면 동충하초는 자양강장약으로써 폐결핵, 기침, 빈혈 허약, 신경성 위염, 식용부진 등에 으용되고 있다. 이런 유래는 고대의 전통 티벳의학에서 옛부터 전승된 민간요법으로서 동충하초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현대실용중약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폐결핵, 노쇠에 의한 만성 기침, 천식의 발작, 토혈, 식은 땀,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효능이 있다고 한다. 그 밖에 빈혈 허약, 남성의 성적 기능 장애, 콧물 가래가 많이 나오는 사람에게도 쓰인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요즘 인공배양한 동충하초균의 약리 작용에서 중국의약 과학원 약물연구소 포천동 선생이 1983년 중초약 잡지에 게재한 바, 진정작용, 항경련작용, 해열작용, 항산화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1992년에 북경중의원학보에서 강서약청이 제조한 금수보초로써 인공재배한 동충하초를 판매하고 있는바 같은 효능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한국에서도 1985년부터 동충하가 인공적으로 배양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이에대한 효능 연구를 하여 동충하초가 사람에게 효능이 있다는 것을 발히었으며 전세열선생님은 동충하초 문헌을 수집하여 동충하초의 신비한 효능 검증에 대한 책을 2000년에 발표하였다.
서양에서는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로부터 1974년 영국의 글라스고 대학 Cunningham 교수는 동충하초에서 유전정보에 관여하는 중요한 핵산물질인 코디세핀(Cordycepin)이 발견되면서 동충하초에 대한 효능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다.
'동충하초 책 > 동충하초효능(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5 (0) | 2010.11.30 |
---|---|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4 (0) | 2010.11.10 |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2 (0) | 2010.11.06 |
제 1 장 세계가 주목하는 동충하초의 효능 (0) | 2010.11.06 |
동충하초의 신비한 효능과 검증2 들어가는 말 (0) | 201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