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동충하초 학명은 Ophiocordyceps sphecocephala(Klozsch ex Berk.) G.H. Sung, J.M. Sung, Hywel-Jones & Spatafora)이고 낙엽 밑에 있는 죽은 벌에서 발견되며, 기주의 머리와 가슴에서 1개 또는 2-3개의 자좌를 만든다 . 연한 노란색을 띠는 자좌는 크기 6mm x 2mm인 긴 타원형의 머리와 60mm x 1mm의 자루로 이루어진다. 머리는 비스듬히 묻힌형..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31
개미동충하초 학명은 Ophiocordyceps formicarum(Kobayasi) G. H. Sung, J. M. Sung, Hywel-Jones & Spatafora)이고 개미의 성충을 기주로하여 단일 또는 3본의 자좌를 머리와 흉부마디로부터 발생 시킨다. 지상부의 높이는 20-30mm이며 자좌는 20-35 x 1mm인 등황색의 자루와 유공자낭각을 매생하는 타원형의 머리로 이루워져 있다. 유공자낭각..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9
파리주발동충하초 학명은 Ophiocordyceps (Kobayasi and Shimizu) G. H. Sung, J. M. Sung, Hywel-Jones & Spatafora)이고 파리성충의 흉부배측으로부터 두본의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는 4 x 1.5mm가량의 병부와 원형의 2 x 2mm가량 크기인 두부로 이루워져 있다. 두부에는 크기가 600-620 x 200-220㎛가량인 자낭각이 매몰되어 있다. 머리부분과 자루..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9
동충하초 분류체계 확립 동충하초가 문헌으로 처음에 알려진 것은 800년대이니까 지금부터 1200년전이다. 1082년 증류초본에 蟬花 즉 매미의 꽃으로 알려 지었다. 그 후 많은 학자들이 형태적으로 연구를 하여 1892년 Cooke에 의해 Vegetable wasps and plant worm를 출판하였고 동양에서는 1983년 小林義雄 선생이 동충하초균도보를 발행을 ..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9
번데기황색다발동충하초 (C. bifusispora O. E. Erikss) 인시목의 번데기를 기주로 하여 총생하는 곤봉형 자실체를 형성하는데 기주가 되는 번데기의 크기는 23 x 10mm가량이며 자실체는 백황색을 띠며 크기가 10-20 x 1-2mm인 줄기부부는 엷은 황색을 띠며 크기가 7 x 2mm인 머리부분 이루어져 있다. 자낭각은 두부에 반쯤 묻혀있고 조밀하게 분포하며 크기는 550-62..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9
붉은봉형동충하초 (C. ampullacea Kobayasi et Shimizu) 작은 번데기를 기주로 지하부에 형성되며 자좌의 머리는 장타원형이고 2-4개의 자좌가 형성된다. 지상부의 길이는 10-15cm이며 붉은색이다. 자좌의 머리는 장타원형이고 병부의 선단에 위치한다. 머리와 줄기의 경계는 명확한편이며 두부의 상단에는 유공자낭각은 빽빽하고 묻혀서 형성한다. 1991년 9월 ..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9
유충점박이동충하초(Ophiocordyceps agriotidis) 유충에서 생기며 복부마디에서 하나의 자좌를 형성하며 검은 빛을 띠는 자낭각은 옅은 황색을 띠는 줄기에 돌출되어 있고 산생한다. 줄기의 정단부는 유공자낭각이 형성하지 않는데 이를 부속사라 부른다. 1994년 8월 4일 치악산에서 채집되었다.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9
동충하초 사진 전시회 한국의 동충하초(Insect-Flower of Korea, 2007 EXHIBITION 2002. 3. 28 - 상시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033) 250-8076 2007. 4. 26 - 5. 17. 국립수목원 특별전시실 (031-540-1030) 2007. 5. 13 - 6. 13 강원대학교 종합강의동 1층(033-250-6439) 주최 : 강원대학교 동충하초연구소 주관 : 강원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사업회 협찬 : (주) 머쉬텍..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사진전 2009.12.25
베트남에서 찾은 동충하초 외국에 동충하초를 채집하려 많은 나라를 가 보았지만 2006년 6월 15일에 베트남 Cuc Phong National Park에서 매미에서 형성된 동충하초가 지금도 머리속에 생생하다. 베트남은 열매지방이므로 곤충이 한국 것 보다 커서 동충하초도 크다. 기온이 높기 때문에 동충하초를 발견할 수 없을 거라는 예상을 뒤없..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2009.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