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버섯/버섯이야기

느타리버섯 액체종균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생산에 관한 연구

성재모동충하초 2010. 1. 10. 14:40

 

  본 연구개발과제에서는 느타리버섯 액체종균을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생산에 관한 연구로서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느타리버섯의 균사영양환경에 알맞은 액체배지를 선발하여 액체종균을 배양함과 동시에 농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염가의 배양장치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액체종균의 실용화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다양한 재배기질과 재배법에서 액체종균을 이용하여 버섯재배를 수행하였다. 또 액체종균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를 농가에서 실시함으로서 액체종균 배양기술의 이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장래 액체종균을 농가에서 이용하는데 필요한 실용적인 측면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개발과제의 공시균주인 느타리버섯 8품종(농기 2-1, 농기 201호, 농기 202호, 사철느타리, 여름느타리, 원형느타리 1호, 원형느타리 2호, 애느타리 1호)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pH는 각각 25~30℃와 5.5~6.5로 조사되었다. 농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산업용 액체배지의 탄소원으로는 황백당을, 그리고 질소원으로는 대두분을 각각 선발하였다. 그리고 부산물을 이용한 배지성분으로는 당밀 4%와 옥수수침지액 0.5%를 조성으로하는 부산물 배지를 선발하였다. 액체배양장치로는 배양액량이 8리터, 10리터, 20리터인 원통형의 내열성 유리병을 선발하였으며, 배관으로는 접종라인과 배양액 채취라인을 겸하는 라인 1개에 통기관과 배기관을 각각 1개 라인씩 총 3개 라인을 연결하였다. 압축공기는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공급하였으며, PVA필터와 섬유충진필터로 공기제균을 행하였다. 그리고 소포제로서는 시판소포제와 식물성 유지를 사용하였다. 액체종균을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한 결과 접종량은 병재배 및 금사느타리버섯 작목반의 경우 20±5㎖가 적당하였고, 톱밥종균을 생산할 경우에도 동일한 접종량을 접종하였다. 접종방법으로는 압축공기에 의한 분사접종법을 이용하였다. 액체종균을 이용하기에 적당한 기질은 기존의 버섯배지이면 충분하였다. 즉 국내의 톱밥종균으로 생산되는 병배지에서 액체종균을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였을 때 어떠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또 품종의 형질변화와 같은 문제점을 현재까지 발견할 수 없었던 것으로 미루어 액체종균 사용에 따른 유전적 안정성에는 이상이 없었다. 액체종균을 농가에 보급하여 실용화시키는 농가실증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액체종균 배양기술의 습득과 이용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나 현재 금사느타리버섯 작목반에서는 자가배양된 느타리버섯 액체종균으로 버섯을 재배하는데 성공하였다.

1995년 농림기술관리센터 제 1 년차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