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6월 27일 일요일 비
동충하초가 1963년 대학을 농학을 하기로하고 들어 갔으니까 해수로는 벌써 50년이 가까워 온다. 농촌진흥청에서 작물에 발생하는 병을 연구하였고 1984년부터는 동충하초, 상황과 송이버섯을 연구를 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것은 동충하초이다. 동충하초는 곤충이 먹는 나무 잎을 영양분 삼아 곤충속에서 자라다가 곤충을 죽게한 후 자실체를 형성하는 버섯이다. 그러하니 농작물에 해을 주는 해충을 방제 할 수 잇는 것은 당연하다. 이미 그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나 화학농약인 살충제와는 비교가 될 수 없으므로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무농약으로 농사를 지어야 좋은 값을 팔 수 있기 때문에 살충제를 살포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벌레를 잡아야 한다.
지금에 와서야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벌레를 잡는 방법을 생각 할 수 밖에 없다. 동충하초는 이미 동충하초 중에는 식물에 병을 방제하면서 잘 자라게 할 수 있는 동충하초와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동충하초의 균주를 가지고 있다 이 두개의 다른 동충하초를 어떻게 배양을 하여 그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이미 횡성군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시는 임종완선생님이 관심이 있으니 두리 머리를 맛내고 개발하면 하나의 작품이 나올 수 있으리라 본다. 이제는 농업기술센터에도 모는 장비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일을 하는데 아무 불편이 없을 것 같다. 이 일을 추진을 하려고 한다.
사진은 동충하초로 죽은 곤충에서 균을 분리하여 배양한 후 유충에 살포한후 죽은 유충과 건전하게 보여도 기형이 되는 곤충, 중간 사진은 동충하초를 배양하여 유충에 뿌리고 5일 후 관찰 할 예정 마지막 사진은 동충하초에서 균주를 분리하여 배양한 후 살포한 후 작물에서 자라는 모습
'사는 이야기 > 횡성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성군 서원 농협에 성재모동충하초 원료를 납품하였다. (0) | 2011.07.30 |
---|---|
횡성군 의회 정명철의장님과 의원님 방문을 하시었다. (0) | 2011.07.30 |
농촌진흥청 이계엽연구관님과 횡성군농업기술센터 임종완님 방문하시었다. (0) | 2011.06.25 |
주민과의 대화에 참석을 하였다. (0) | 2011.06.24 |
횡성군 농업기술센터 임종완선생님이 방문하시었다. (0) | 201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