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종류와 사진/동충하초 종류

하늘소가 백강균의 침입을 받아 죽은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성재모동충하초 2014. 3. 26. 04:27

하늘소가 백강균의 침입을 받아 죽은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2014년 3월 26일 곧 비가 올 것 같은 구름이 많이 낀 수요일입니다. 오늘 또 하루 선물을 받았네요. 오늘은 108배를 61일째입니다. 봄이 되면 모든 만물이 힘차게 돋아 나오는 것처럼 동충하초도 나오겠지요. 오늘은 20년 전에 채집한 하늘소 동충하초가 지금까지 그대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백강균에 이병된 하늘소동충하초를 올려놓고 이러한 원리를 밝혀지기를 바라면서 동충하초와 함께 하루를 즐겁게 보내려고 합니다. 오늘도 평안하고 행복한 하루 되소서.


봄이 와서 그러한지 연구실에서 나오면 생명을 탄생하기 위하여 짝짓기를 하는 새들과 생육실에서 힘차게 생장하고 있는 성재모동충하초를 보면서 하루를 보내었는데 의문이 생기었습니다. 동충하초에 감염된 곤충은 왜 썩지 않고 20년 동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까? 입니다. 동충하초 찍은 사진과 표본을 보니 1993년에 채집한 백강균에 이병된 하늘소가 지금까지 다리하나 상하지 않고 그대로 있습니다. 어떤 물질이 있어 이것들을 이렇게 지키어 줄 수 있을까요? 보면 볼수록 의문이 생기지만 지금으로는 나의 능력으로는 알아 낼 수 없으니 이 물질을 밝히어 내는 것은 우리 후배 과학자들이 몫이고 꼭 밝혀 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동충하초를 보면 볼수록 앞으로 연구할 수 있고 산업 할 수 있는 무궁무진한 자원임이 틀림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면 우리는 또 하나의 중요한 유전자원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앞으로 살아 있는 동안 연구와 산업화에 부지런히 정진을 할 것을 다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