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화초의 산업화를 기대한다.
2017년 2월 10일 2월 들어 2번째 주말로 매우 추운 금요일입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로 받았네요. 어제는 국립종자원으로부터 현미화초에 대한 품종보호료 납부통지서를 받고 납부하였다. 현미화초는 1995년 9월 16일 춘천근교 삼악산에서 유충에 형성된 동충하초를 채집한 노랑다발동충하초(Cordyceps bassiana)로 과학의 힘으로 현미를 이용하여 자실체 형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국립종자원에서 현미화초로 품종등록을 하였다. 단 한번은 채집으로 분리된 균주를 가지고 현미로 대량 배양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립종자원에서 현미화초로 품종등록을 할 수 있는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라 본다.
노랑다발동충하초를 가지고 연구팀과 연구를 하여 아토피에 대한 결과를 SCI 저널에 논문도 내고 아토피에 대한 임상실험을 통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제 대량생산하는 기술과 함께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아토피에 좋은 효과가 있다는 생리활성이 구명되었으나 아직도 산업화의 길은 열리지 않았으니 앞으로 좋은 인연을 만나 산업화되기를 빌어 본다. 오늘은 품종보호권등록증과 납부통지서와 함께 현미화초로 아토피에 대한 효과가 있는 사진을 올려놓고 동충하초와 함께 조용하고 여유롭게 하루를 보내려고 한다. 오늘도 인연이 있는 도반님 편안하고 행복하신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동충하초지적재산권 > 동충하초품종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화초의 품종등록료를 내는 즐거움 (0) | 2018.01.12 |
---|---|
품종보호료를 납부하는 즐거움 (0) | 2018.01.09 |
내 이름으로 품종등록한 성재모동충하초란? (0) | 2017.02.01 |
국가에서 받은 품종에 대한 등록료를 내는 즐거움. (0) | 2017.01.24 |
국가가 인증을 한 품종보호료 납부통지서를 받는 즐거움. (0) | 2016.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