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채집되는 박쥐나방동충하초(Ophiocordyceps sinensis)는 재배가 가능한지요.
2017년 3월 20일. 날씨가 지내기가 아주 좋아지었지요. 3월 4째 주가 시작하는 월요일입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 받았네요. 세월이 참 빠르지요. 어제는 재배실에서 동충하초를 돌보고 있는데 동충하초에 관심이 많은 고객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중국에 살다 보니 동충하초에 관심이 많아 중국산 박쥐나방동충하초를 알게 되었고 관심을 가지고 인터넷으로 알아보니 교수님 글이 많이 나와 이렇게 전화를 건다고 한다. 물론 가능하다고 말씀을 드렸고 무엇보다 박쥐나방동충하초 자연산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 된 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2002년 MYCOTAXON에 <NAMES RELATED TO CORDYCEPS SINENSIS ANAMORPH>에서 자연산 박쥐나방동충하초에서 22종의 불완전세대 분리가 되었는데 그 중에서 Hirsutella sinensis가 박쥐나방동충하초의 불완전세대이고 그 이외의 균은 박쥐나방동충하초와는 상관이 없는 다른 균이라는 것을 보고하였다. Hirsutella sinensis는 생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분리를 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2016년에 중국에서 열리는 CORDYCEPS FORUM 2016에 참석하여 HONG YU교수님이 발표에 배지위에서 Ophiocordyceps sinensis(Berk.) G.H. Sung, J.M. Sung, Hywel-Jones & Spatafora가 형성되는 것을 알았다. 이것을 대량으로 배양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여 주었다. 동충하초의 대표종인 성재모동충하초를 대량으로 배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니 도움이 된다고 하면 중국산박쥐나방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법을 같이 연구하는 것도 아주 좋은 생각이라고 이야기로 하여 주었다. 동충하초 앞으로 연구할 가치가 무궁무진한데 살아 있는 동안에 도움을 청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같이 공유하고 싶다. 오늘은 중국에서 발표한 홍유교수님의 배지에서 형성된 박쥐나방동충하초 학명의 명명자로 SUNG으로 되어 잇는 것을 보니 더욱 더 동충하초 연구를 하여야 되겠다는 다짐을 하면서 즐겁고 걸림이 없는 하루를 보내려고 한다. 오늘도 인연이 있는 도반님 편안하고 행복하신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동충하초 종류와 사진 > 동충하초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에서 솓아난 동충하초가 이 더위를 식히어 준다. (0) | 2018.08.04 |
---|---|
동충하초를 만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0) | 2018.07.04 |
성재모동충하초를 보는 즐거움 (0) | 2016.03.16 |
동충하초 덕분에 산골농촌마을의 즐거운 삶 (0) | 2016.01.16 |
참고 기다림을 일깨워 준 동충하초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