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책/한국동충하초(총론)

한국의 동충하초 서론 : (2) 자낭과 자낭포자.

성재모동충하초 2021. 5. 17. 04:31

한국의 동충하초 서론 : (2) 자낭과 자낭포자.

 

2021517. 새벽에 일어나니 어제부터 오는 비가 계속 내리는 월요일로 또 한 주를 시작하는 날입니다. 오늘도 변함이 없이 성재모동충하초를 돌보고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글을 올릴 수 있는 일요일입니다. 인연이 있는 고객님도 오늘 하루 잘 보내기를 바랍니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로 받았네요.

 

어제는 온종일 비가 내리어서 덥지 않아 한국의 동충하초 개정판을 내기 위하여 원고를 작성하였다. 작성하다가 눈이 아프면 비가 오는 창가에 앉아 비가 오는 모습을 보면서 생각을 하게 된다. 버섯을 직업으로 살고 있으므로 여름이 되면 비를 기다린다. 우리는 진짜 좋은 것을 모르고 산다. 사람이 좋아하는 맑은 날씨가 오래 계속되면 사막이 되어 사람이 살 수 없는 토양이 되지만 비는 아무리 오래 계속되어도 잘 관리만 잘하면 정말 많은 것을 준다. 무엇이든지 지금은 좋지 않지만 지나면 좋게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차려 지혜롭게 사는 법을 알아내어 사는 방법을 터득하면 된다고 본다. 오늘도 이책 저책을 보다 보니 하루가 그냥 지나간다. 언제나 일을 하는 것만으로도 우주법계에 고마운 마음을 드리며 한국의 동충하초 개정판을 완성할 수 있을 때까지 도반님의 성원을 바라며 언제나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오늘도 보내려고 한다.

 

오늘은 식물의 씨앗이라고 할 수 있는 자낭포자에 관하여 사진을 올려놓고 내가 맞이하는 모든 것에 순응하면서 오늘도 바르고 천천히 흔들림이 없이 그냥 가려고 한다. 우리 모두 사는 동안 최선을 다해 후회 없는 삶을 살았음 좋겠습니다. 그저 물처럼 흐르는 인생으로 늘 행복하고 웃음 가득 찬 나날이 되기를 기원합시다. 더욱 건강하시고, 범사가 잘 되는 복을 누리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고 고맙습니다.

 

문의 : 010-4872-5936

 

주문 :

 

성재모동충하초 머쉬텍 제품 http://naver.me/5rLTrzqo

 

성재모동충하초 현미밥알칩 http://me2.do/F36egE3F

 

성재모동충하초 현미강정 http://naver.me/GUvhYm9X

 

하심정 www.hsinsam.com

 

횡성새말양봉 www.smhoney.kr

 

횡성군 농업인백화점 https://cafe.naver.com/farmworkers/162

 

동충하초 www.mushtech.co.kr http://blog.daum.net/cordyceps

 

(2) 자낭과 자낭포자

 

동충하초는 기주 내부에 형성된 균핵에서 자좌를 외부로 내어 형성된 버섯으로, 머리, 자낭각, 자낭, 자낭포자로 구성된다. 감염된 기주로부터 형성된 자좌는 동충하초 종을 분류하는데 중요한 구조이다. 동충하초 종의 정확한 분류 동정을 하는 데는 자낭과 자낭포자의 관찰 없이는 할 수 없다. 성숙한 자낭은 보통 평행 또는 다소 비틀려 배열된 8개의 긴 자낭포자를 가지고 있다. 자낭포자는 가느다란 방추형의 실 모양으로 뚜렷한 격막을 가지고 있다(그림 I-6). 그중에서 자낭과 자낭포자는 동충하초의 종을 분류하는데 중요하므로 성숙한 자낭과 자낭포자의 관찰이 필요하며, 미숙한 자좌를 그대로 표본으로 만들면 자낭포자를 관찰할 수 없으므로 신종이라도 분류가 어렵다. 그러므로 미숙한 상태에서 채집된 표본은 그대로 실험실에서 자좌의 머리에 포자가 성숙할 때까지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낭은 정단(頂端) 머리의 형태와 크기가 중요한 분류의 기준이 된다(그림. I-7).

 

그림 I-6. 자낭포자 . 1, 분열하지 않고 많은 세포를 가진 자낭포자. 23, 단세포 2차 포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열된 다세포 자낭포자. 4, 둥근 모양의 2차 포자를 가진 자낭포자. 5, 피침형의 2차포자로 분열된 자낭포자.

 

그림. I-7. 자낭머리의 형태.

1,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2, 균핵동충하초(Tolypocladium ophioglossoides).

3, 유충긴목구형동충하초(Ophiocordyceps gracilis).

4, 벌가시동충하초(Ophiocordyceps oxycephala). 5, 벌동충하초(Ophiocordyceps sphecocephala).

 

 

(2) Ascus and ascospore

The stromata arising from the infected hosts are the most important structures used for the classification of Cordyceps species. No completely reliable, correct identification of a Cordyceps species may be made, however, without also observing the asci and ascospores. Mature asci contain a bundle of 8 long ascospores. The ascospores are narrow and filiform (thread-like), may be tapered towards their ends, and are usually divided into numerous cells by transverse septa (Fig. I-6).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examine mature asci and ascospores; specimens that are collected in an immature state may not allow full and reliable identifications. When immature stromata are dried or otherwise fixed to prevent further development of the fungus, it will become impossible to examine ascospores, and determination of the correct specific identification or even if the specimen represents a new species may be impossible. It is for that reason that immature specimens collected in the field should be further cultured in the laboratory to allow an opportunity for the perithecia, asci, and ascospores to develop and to become mature. The relative sizes and shapes of the thickened caps at the apices of the asci and the shape of the caps could be the basis for the classification of asci (Fig. I-7).

 

Fig. I-6. Ascospore types. 1, Multicellular ascospores remain intact and do not dissociate. 2 and 3, Multicellular ascospores dissociate to form unicellular secondary part-spores. 4, Secondary part-spores are globose to ovoid. 5, Spindle-shaped (fusiform) secondary part-spores are formed.

 

Fig. I-7. Shapes of asci caps. 1, Cordyceps militaris. 2, Tolypocladium ophioglossoides. 3, Ophiocordyceps gracilis. 4, Ophiocordyceps oxycephala. 5, Ophiocordyceps sphecocepha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