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생리활성 178

Bcl-2와 Bax protein에 대한 CBBF의 효과

(4) Bcl-2와 Bax protein에 대한 CBBF의 효과 우리는 또한 세포사멸 신호전달에서 대표적인 Bcl-2 family에 대한 CBBF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Bcl-2 family중에서도 대표적인 세포사멸 억제신호인 Bcl-2 protein과 촉진신호인 Bax protein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Bcl-2의 경우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감..

노랑다발동충하초의 추출물에 의한 FACS를 통한 세포사멸 확인

나. CBBF와 세포사멸과의 관계 (1)FACS를 통한 세포사멸 확인 CBBF가 세포사멸에 어떠한 영향를 주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서 CBBF를 일정농도로 하여 처리를 해주었고 24시간 배양시킨 뒤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세포의 주기와 세포사멸을 확인해 보았다. CBBF의 농도가 200ug/ml에서 최대의 sub-G1의 증가를 확인..

노랑다발동충하초의 Clonogeny assay를 통한 Du-145세포의 생존율 조사

(2) Clonogeny assay를 통한 Du-145세포의 생존율 조사 CBBF에 의한 Du145세포의 생존율을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CBBF를 처리해 주었고 24시간동안 노출시킨 후, 제거하고 배지를 갈아주며 1-2주간 배양한 결과, 농도에 비례하여 dose-dependant하게 colony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54). Fig. 54 Clono..

노랑다발동충하초의 MTT assay를 통한 PC-3와 Du145 세포의 생존율 조사

6. 노랑다발동충하초의 항암특성 가. CBBF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1) MTT assay를 통한 PC-3와 Du145 세포의 생존율 조사 CBBF가 암세포에 있어서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를 행하였다. CBBF를 동일한 농도로 각각의 세포에 처리를 해준 후, 24시간을 배양시켰다. 실험결과 농도에 dose ..

노랑다발동충하초 핵산 분획물(CBHF)의 ROS 형성 억제 효과

바) CBHF의 ROS 형성 억제 효과 앞의 실험에서 IkB의 인산화와 JNK의 인산화는 signal upstream에서 ROS가 영향을 준다고 보고(23,30,32,33)되어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 ROS의 저해자인 NAC과 DPI을 처리하였을 경우 iNOS 및 NO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Confocal assay를 통해서 LPS 처리로 생성되는 ROS를 CBHF..

CBHF의 IkB, p38 그리고 JNK의 인산화 억제효과

마. CBHF의 IkB, p38 그리고 JNK의 인산화 억제효과 LPS로 유도되는 염증 신호 기작에서는 많은 신호 전달에 의해서 염증 유발 단백질들의 발현이 조절되고 있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그 중에서 IkB-NFkB pathway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또한 MAP kinases에 의해서 조절되어진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따라서 IkB-NFkB pathw..

CBHF의 iNOS 단백질과 NO 생성의 억제 효과

라. CBHF의 iNOS 단백질과 NO 생성의 억제 효과 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키면 염증 유발 단백질인 iNOS 단백질과 NO의 생성이 증가됨을 알 수가 있다. 이 때 CBHF를 농도에 따라서 처리하게 되면 LPS로 유도되는 iNOS가 단백질 level에서도 줄어드는지를 확인하고자 Western blotting을 통해서 실험한 ..

노랑다발동충하초의 ethanol 추출물 및 여러 분획물의 항염 효과

다. 노랑다발동충하초의 ethanol 추출물 및 여러 분획물의 항염 효과 노랑다발동충하초를 ethanol로 추출한 것으로 농도별로 처리하여 iNOS와 COX-2의 저해능력을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iNOS와 COX-2 모두 노랑다발동충하초 ethanol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iNOS가 뚜렷히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COX-2 또한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