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생리활성 178

노랑다발 동충하초의 EA추출물과 water 추출물의 항암 효과 비교

16. 노랑다발 동충하초의 EA추출물과 water 추출물의 항암 효과 비교 노랑다발 동충하초의 추출물을 암세포에 처리한 후 48hr이 지났을 때, 항암 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여러 암세포 중 백혈병(K562), 뇌종양(DU145), 선암(SK-OV3), 폐암(A549), 골아세포육종(HOS), 신장암(293), 전립선암(Pro5), 자궁경부..

노랑다발 동충하초 (Cordyceps staphylindaecola)의 항암 효과

15. 노랑다발 동충하초 (Cordyceps staphylindaecola)의 항암 효과 뇌종양(DU145), 위암(MKN-45), 백혈병(K562), 폐암(A549), 그리고 간아세포종(HepG2) 세포를 이용하여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다. 암세포를 배양하여 노랑다발 동충하초 추출물(MeOH, Hexane, Butanol, Ethyl acetate, EtOH, Water 추출물) 0, 10, 50, 100, 200ug/ml을 처리 한 후 ..

노랑다발동충하초의 항염효과

13. 노랑다발동충하초의 항염효과 노랑다발동충하초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 유발 단백질을 저해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농도에 따라서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이 억제됨을 알 수가 있었다(Fig 22 and 23)). 노랑다발동충하초의 추출물은 항염효과 물질..

HPLC를 이용한 각 추출물의 분석

8. HPLC를 이용한 각 추출물의 분석 Methanol 추출물의 UV scanning spectrum 결과 파장이 269nm에서 최대 흡수를 갖는 것을 알았으며, 동충하초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HPLC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pattern을 비교하였다(Fig. 11). HPLC pattern을 detection하기 위하여, methanol 추출물을 reverse phase c..

SDS-PAGE gel상에서 apoB-100의 protection 비교

7. SDS-PAGE gel상에서 apoB-100의 protection 비교 노랑다발 동충하초 분획물의 항산화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LDL 산화로 인한, apoB-100의 degradation 정도를 각 분획물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동충하초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효과는 SDS-PAGE상에서 LDL의 성분인 apoB-100의 degradation 정도를 살펴보았다. Fig. 9에서..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통한 mobility의 변화

6.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통한 mobility의 변화 각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agarose gel 상에서 mobility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산화된 LDL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상에서 mobility의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mobility의 변화는 LDL이 산화되면서 apoB-100의 charge가 positive한 쪽에서 negative한 쪽으로 charge가 변하기 때문이다. Fi..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5.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노랑다발 동충하초 각 용매로 추출한 다음, 노랑다발 동충하초의 각 분획 추출물들의 LDL 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BARS 방법을 이용하여 MDA 생성 정도를 살펴보았다. 어떠한 용매의 추출물이 가장 동맥경화억제 효능이 높은지를 비교하..

노랑다발동충하초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과 수율

4. 동충하초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과 수율 Table 1에서는 각 동충하초의 용매에 따른 수율을 보여주고 있다. 노랑다발 동충하초 사용하여 m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의 용매에 따른 수율을 비교한 결과, methanol 추출물(122 gram)에서 water(54.6gram) 분획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buthanol(35.8%), hexane(..

노랑다발동충하초의 지방산 분석

10. 노랑다발동충하초의 지방산 분석 노랑다발동충하초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 성분을 GC를 통해 알아본 결과, 포화지방산보다는 불포화지방산이 과량함유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섭취해야되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었으며, 식품으로서 매우 적합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

노랑다발동충하초의 단백질 함량 비교

9. 노랑다발동충하초의 단백질 함량 비교 동충하초 가루 1g을 20ml의 PBS buffer(pH7.4)에 녹인 후에 Centrifuge 4000rpm 45분 2번하여 Supernant를 얻고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된 sample에 2ml의 PBS buffer(pH7.4)에 녹인 후에 Centrifuge 4000rpm 45분하여 완전히 녹은 용액만을 Lowry Method로 정량을 하여 SDS-PAGE를 수행하였다.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