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사체의 배양환경 및 영양원 선발
온도 및 초기 pH의 영향
공시균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공시균주 중에서 원형2호(PL.7)가 25℃에서 균사생장이 우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7품종 모두 30℃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Fig. 2). 또한 균사체 생육에 미치는 초기 pH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애느타리버섯(PL.8)은 pH 5.5에서 균사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나머지 공시균주는 pH 6.5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Fig. 3). 그러나 초기 pH의 적응범위가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양원의 선발
느타리버섯 8품종의 균사체 생육에 미치는 영양원의 영향을 시험하여 Table 7, 8, 9의 결과를 얻었다. 탄소원 실험에서는 monosaccharide인 glucose에서 보다는 disaccharide 및 polysaccharide인 황백당, 옥수수가루, 밀가루 등에서 건조균사체의 생산량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7).
Table 7. Effect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spp. at the petridish culture, incubated at 25℃ for 5 days.
Carbon sources |
Colony diameter of Pleurotus spp.(㎜/5days) | |||||||
PL.1 |
PL.2 |
PL.3 |
PL.4 |
PL.5 |
PL.6 |
PL.7 |
PL.8 | |
Caramel Corn flour Corn starch Glucose Molasses Potato starch Wheat flour Yellow sugar |
67.0 73.3 66.3 35.0 61.0 64.7 74.2 74.0 |
71.7 76.2 66.0 68.0 65.7 65.7 79.2 77.3 |
61.3 66.5 58.7 54.7 64.3 51.0 71.7 72.3 |
70.3 76.8 69.7 49.0 64.7 58.7 73.5 73.3 |
60.7 69.3 62.0 40.7 71.0 57.2 64.8 69.0 |
74.0 79.5 70.3 45.7 70.7 70.3 79.0 80.0 |
75.0 80.0 70.8 50.7 71.3 66.5 78.5 78.7 |
59.0 57.3 49.8 28.3 57.7 42.7 65.5 59.0 |
Medium contents ; Each carbon sources were added 3%, Yeast extract 0.3%, KH2PO4 0.1%, MgSO4․7H2O 0.1%.
질소원의 선발실험에서는 대두분에서 공시균주 모두 균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는 yeast extract, peptone, 옥수수침출액 순으로 균사생장이 감소하였다(Table 8).
Table 8. Effect of various nitrogen sources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spp. at the petridish culture, incubated at 25℃ for 5 days.
Nitrogen sources |
Colony diameter of Pleurotus spp.(㎜/5days) | |||||||
PL.1 |
PL.2 |
PL.3 |
PL.4 |
PL.5 |
PL.6 |
PL.7 |
PL.8 | |
Cornsteep liquor Peptone Soybean flour Yeast extract |
59.3 69.7 72.3 69.2 |
63.0 64.2 68.8 69.2 |
39.3 40.3 61.7 52.5 |
38.7 59.7 74.0 64.5 |
52.0 60.3 77.8 58.5 |
61.7 70.3 79.7 70.7 |
52.7 72.5 80.0 73.0 |
49.7 31.8 43.0 40.3 |
Medium contents ; Yellow sugar 3%, each nitrogen sources were added 0.3%, KH2PO4 0.1%, MgSO4․7H2O 0.1%.
또한 무기염류의 첨가가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배지(B.M.)에 CaCl2, CaSO4․2H20, KH2PO4, MgSO4․7H20를 각각 0.1%(w/v)씩 첨가하여 페트리디쉬 배양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서의 뚜렷한 첨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Table 9).
Table 9. Effect of various mineral salts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spp. at the petridish culture, incubated at 25℃ for 6 days.
Mineral sources |
Colony diameter of Pleurotus spp.(㎜/6days) | |||||||
PL.1 |
PL.2 |
PL.3 |
PL.4 |
PL.5 |
PL.6 |
PL.7 |
PL.8 | |
Control CaCl2 CaSO4․2H20 KH2P4 MgSO4․7H20 |
54.0 54.0 52.5 48.8 53.3 |
69.8 68.8 70.5 63.5 70.0 |
63.5 65.0 64.0 58.3 63.3 |
61.5 64.0 65.5 58.8 61.8 |
59.5 63.0 60.5 54.3 60.8 |
67.5 72.5 70.5 64.3 69.5 |
67.8 70.0 70.3 66.3 69.5 |
46.0 51.0 48.2 44.3 46.3 |
Medium contents ; Yellow sugar 3%, Yeast extract 0.3%, each mineral salts were added 0.1%.
'일반 버섯 > 느타리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타리버섯 액체종균을 위한 Carboy에서의 배양환경 (0) | 2011.06.29 |
---|---|
느타리버섯균의 삼각플라스크에서의 배양환경 (0) | 2011.06.29 |
느타리버섯균의 액체배양에서 잡균 검색 및 활력 검정배지 (0) | 2011.06.29 |
느타리버섯균의 배지 선발 (0) | 2011.06.28 |
느타리 버섯의 연구사 (0) | 201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