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29일 일요일 맑음
시대가 발전하는 것과 같이 균학의 발전도 많은 발전을 하고 있다. 그 전에는 균의 분류도 동충하초의 형태를 보고 알아 내고 더욱 더 분류를 하려면 동충하초에서 균을 분리하여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것과 또 분리된 균을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하면 확실하게 그 동충하초라고 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방법은 DNA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것이 요사이 방법이다. 박쥐나방동충하초는 처음에는 Cordyceps sinensis이었는데 지금은 DNA를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다시 분류한 결과 Ophiocordyceps sinensis로 다시 명명을 하였다.
중국 박쥐나방동충하초는 약효가 인정이 되어 많은 사람들이 인공적으로 자실체를 형성하려고 모든 노력을 하였지만 이제까지 성공한 연구자는 없다. 그것은 동충하초의 자실체에서 분리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이 불완전세대를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성공할 수 없다.
MYCOTAXON(2002)에 수록된 CORDYCEPS SINENSIS 불완전 세대애 관련된 불완전세대는 전부 22종으로 보고되었다. 이 중에서 Hirsutella sinensis만이 중국박쥐나방동충하초로 확인이 되었고 Paecilomyces hepiali나 Cephalosporium sinensis등은 아닌 것으로 밝히어지었다. 그런데 Cordyceps sinensis가 Paecilomyces hepiali가 불완전세대라고 하면서 산업화 시킨다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Hirsutella sinensis는 균사의 생장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배양이 어렵고 자실체를 형성시키기도 어려워 산업화하는데 어려운점이 많다고 본다. 지금이라도 중국박쥐나방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를 가지고 산업화를 시키려면 이미 밝혀진 Hirsutella sinensis인 불완전 세대를 가지고 산업화를 시키어야 된다고 본다.
MACOTAXON에 나온 논문을 관심이 있는 과학자나 일반인을 위하여 올려 놓는다.
'머쉬텍 > 머쉬텍동충하초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 시넨시스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에 대하여 알고 사시기 바랍니다. (0) | 2012.02.19 |
---|---|
동충하초의 산업화를 기대하면서 하루를 보내다. (0) | 2012.02.11 |
요사이 질문을 많이 받은 중국 코디셉스시낸시스(Cordyceps sinesis)에 대한 의견 (0) | 2012.01.13 |
시간에 관계없이 생장하는 성재모동충하초 (0) | 2012.01.08 |
밖에는 눈과 안에는 성재모동충하초의 조화로움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