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쉬텍/머쉬텍동충하초연구소

요사이 질문을 많이 받은 중국 코디셉스시낸시스(Cordyceps sinesis)에 대한 의견

성재모동충하초 2012. 1. 13. 17:46

2012년 1월 13일 금요일 맑음

  번데기동충하초 품종명 성재모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현미에 접종하고 있는데 중국 박쥐나방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에 대하여 질문을 전화가 왔다. 중국 박쥐나방동충하초는 중국과 티벧과 네팔등지에서 박쥐나방 유충에 형성되는 것으로 1997년 네팔을 방문하여 박쥐나방동충하초를 처음으로 채집하여 사진을 찍고 동충하초로부터 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은 Paecilomyces farinosus로 지금까지 보존하고 있다.

  박쥐나방동충하초의 학명은 Cordyceps sinesis(Berk.) Sacc이었는데 2007년 CBS에서 나온 성등(2007)이 저술한 Studies in Mycology57권  Phylogenetics classification of Cordyceps and the clavicipitaceous fungi에서 Ophiocordyceps sinensis(Berk.) G.H. Sung, J.M. Sung, Hywel-Jones & Spatafora.  comb. nov로 학명이 바뀌었고 불완전세대는 Paecilomyces속이 아니고 Hirsutella sinensis X..J. Liu, Y.L. Guo, Y.X.. Yu and W. Zeng라고 보고하고 있다.

  박쥐나방동충하초에서 분리한 균주를 가지고 자실체를 형성시킨 과학자는 없다. 이것은 박쥐나방동충하초에서 쉽게 분리되는 눈꽃동충하초속에 속하는 Paecilomyces farinosus와 P. hepialid를 가지고 자실체를 형성시키려고 하기 때문이다. 또한 Paecilomyces farinosus와 P. hepialid를 가지고 DN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Ophiocordyceps sinensis규니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오래동안 균을 분리하는 과정중에서 다른 균을 분리되는 것은 균을 연구하는 사람이면 많이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박쥐나방동충하초에서 분리를 하였다 손치더라도 분리된 균을 가지고 박쥐나방동충하초의 자실체를 형성시키지 못하였다면 박쥐나방동충하초라고 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한가지 박쥐나방동충하초를 인공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은 Hirsutella sinesis를 분리 동정하여 이균을 가지고 연구를 하면 가능성은 있지만 Hirsutella속은 늦게 자라기 때문에 균을 분리하기도 어렵고 균을 배양하는데도 어렵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