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여러 분획 추출물의 동맥경화 억제 활성 비교
노랑다발 동충하초 각 용매로 추출한 다음, 노랑다발 동충하초의 각 분획 추출물들의 LDL 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BARS 방법을 이용하여 MDA 생성 정도를 살펴보았다. 어떠한 용매의 추출물이 가장 동맥경화억제 효능이 높은지를 비교하였다. LDL 산화에 대하여 각 용매 추출물의 다양한 농도(Table. 2)를 0에서 1000ug을 첨가하여 LDL 산화에 의한 MDA 생성 정도를 TBARS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Fig. 17-1과 Fig. 17-2에 나타냈다. LDL을 copper로 산화시켰을 때, MDA 값은 증가하였으며, 각 용매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는 농도 증가에 따라서 MDA 값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 methanol 추출물(300ug)과 hexane 분획물(300ug)이 다른 용매보다 좋은 LDL 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butanol(400ug)과 ethyl acetate(400ug), water(1000ug) 순으로 나타났다.
LDL에 각각의 분획물을 첨가시키지 않고 TBARS 값을 비교하였을 경우, MDA 값이 계속해서 증가하지만, 동충하초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는 LDL 산화를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LDL이 장시간 산화가 되더라도 동충하초 분획물은 계속해서 산화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분획물 중에서는 methanol, hexane이 적은 양에서도 LDL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동충하초 분획 추출물 중에서는, methanol 및 hexane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동맥경화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밝혀주고 있다.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 LDL의 산화되는 정도가 증가하는 반면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는 산화에 따른 MDA 생성 정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동충하초 각 분획물들은 LDL 산화가 오랜시간 경과하여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g. 5 and 6).
Table 2. Ratio for LDL oxidation with or without Cordyceps staphylindaecola fraction
(16μM of CuSO4 was added for LDL oxidation, and final volume was adjusted to 1㎖)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control |
added fraction | ||||||||||
Sample |
PBS |
H2O |
DMSO |
100 |
200 |
300 |
400 |
500 |
1000 |
1500 |
2000 |
LDL (ul) |
* |
103 |
103 |
103 |
103 |
103 |
103 |
103 |
103 |
103 |
103 |
PBS (ul) |
881 |
831 |
831 |
781 |
841 |
821 |
801 |
781 |
781 |
731 |
681 |
DMSO (ul) |
* |
* |
50 |
* |
* |
* |
* |
* |
* |
* |
* |
H2O (ul) |
* |
50 |
* |
* |
* |
* |
* |
* |
* |
* |
* |
SAMPLE (ul) |
* |
* |
* |
100 (1mg/ml) |
40 (5mg/ml) |
60 (5mg/ml) |
80 (5mg/ml) |
100 (5mg/ml) |
100 (10mg/ml) |
150 (10mg/ml) |
200 (10mg/ml) |
CU2+ (uM)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Number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Sample (ul) |
H2O |
DMSO |
100 |
200 |
300 |
400 |
500 |
1000 |
1500 |
2000 |
(1) Methanol 300ul
Hexane 300ul
Above n-butanol, middle ethyl acetate, below water 400ul
'동충하초 생리활성 > 노랑다발동충하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S-PAGE gel상에서 apoB-100의 protection 비교 (0) | 2010.03.01 |
---|---|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통한 mobility의 변화 (0) | 2010.02.28 |
노랑다발동충하초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과 수율 (0) | 2010.02.28 |
노랑다발동충하초의 지방산 분석 (0) | 2010.02.28 |
노랑다발동충하초의 단백질 함량 비교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