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외부나드리

버섯연구와 산업화

성재모동충하초 2010. 4. 24. 06:56

2010년 4월 14일

  한국균학회장이신 김홍기교수로부터 한국균학회 총회에서 정년기념특강을 하여 달라는 전화를 받고 27년간 연구해온 버섯연구와 산업화라는 주제로 특강을 한다고 하였다. 한국균학회에 회원이 된 것은 1972년 인가 생각이 된다. 그 동안 학회지가 나올때 마다 논문을 한편은 내기로 하고 이제까지 연구에 부지런히 정진을 하였다. 현대와 같은 시대에는 균이 중요한데 균학자들이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다. 그러하지만 균을 연구하는 후배 학자들이 연구를 열심히 하고 있으니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본다. 한국균학회가 발전하기를 빌면서 이번 특강이 균학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더움이 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려고 한다.

버섯연구와 산업화

성 재 모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 머쉬텍 동충하초연구소장

www.mushtech.co.kr

http://blog.daum.net/cordyceps

cordyceps@daum.net

011-9793-6435

버섯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강원대학교로 직장을 옮긴 이후 연구를 시작하여 지금까지 버섯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1984년 가을 강원대학교 연습림에서 버섯 채집회가 있었는데 그 날 동충하초, 천마, 송이버섯을 만나 지금까지 연구를 하고 있고 그 중에서 동충하초는 동양의 3대 명약 중에 하나로 동충하초를 연구하게 된 것은 좋은 행운을 가지고 온 것이라 생각한다.

동충하초 연구를 위하여 먼저 한국에서 자생하는 동충하초가 어떤 것인지 알기를 위하여 매년 한국은 물론 네팔 태국 일본 중국 베트남등 많은 나라에서 채집을 하였으며 채집한 동충하초균을 분리하여 보관하였다. 채집한 표본 16000점이고 균주는 많이 보존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1000균주를 개인적으로 보관을 하고 있다. 채집한 균주는 생리 실험을 거치어 자실체 형성 연구를 한 결과 번데기동충하초, 노랑다발동충하초, 붉은자루동충하초와 풍뎅이동충하초에 대한 자실체 형성에 성공을 하였다. 번데기동충하초는 생리활성 연구를 통하여 militarin이라는 신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쥐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간경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이 밝히어 지었고 노랑다발동충하초는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어 지었다. 또한 산업화도 되어 번데기동충하초를 자실체를 일본으로 수출하여 일본 kirishima회사에서 금무도를 만들어 출시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이제 산업화하려고 한다.

또 한가지의 연구는 천마에 대한 연구로 천마는 난과 식물에 속하지만은 Armillaria속균이 없으면 생장할 수 없는 난과 식물이다. 천마는 한약제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천마를 대량으로 생산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rmillaria균 중에서 천마에 병을 일으키는 종은 Armillaria mellea이고 천마와 공생관계를 가지는 것은 Armillaria gallica라는 것을 밝히었다. 한국에서 지금 시판되고 있는 천마1호균은 Armillaria gallica로 개발하였다. 천마1호균을 사용하면 천마를 생산하는데 아무 문제점이 없다.

이제까지 송이버섯은 균근균으로 배양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 지었으나 송이버섯에서 송이균을 분리하여 대량으로 배양하는 방법을 액체 배양을 통하여 대량으로 생산 할 수 있었다. 대량으로 생산된 송이균을 소나무가 자라는 지역에 접종한 결과 균환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DNA검정을 통하여 자라는 균이 송이라는 것을 밝히었다. 이것은 앞으로 연구를 계속하면 송이버섯을 형성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이제까지 27년 동안 동충하초를 연구하여 한국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동충하초는 한국이 제일가는 나라라고 인정을 받고 있으나 앞으로 많은 균학자들이 버섯에 대한 연구를 하여 버섯하면 한국이라는 명성을 얻기 바란다.

 

 

Mushroom research and industrialization

Jae-Mo Sung

Emeritus Profess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Director, Cordyceps Research Institute, Mushtech Co. Ltd.,

Chuncheon, Gangwon-Do, Korea

Website: www.mushtech.co.kr

http://blog.daum.net/cordyceps

Email: cordyceps@daum.net

h.p. 011-9793-6435

 

I started my research career on mushroom science right after changing my occupation fro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to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NU), Chuncheon, Korea. I have been continuously doing research on Cordyceps, Armillaria and Tricholoma matsutake, ever since I collected them during a winter mushroom foray in the forest experimental sta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1984. As Cordyceps is regarded as one of the three miraculous drugs in the East, I feel bestowed with fortune to get an opportunity to do research on it.

 

To begin the research on Cordyceps, first of all many collections were made in different parts of Korea as well as from different countries such as Nepal, Thailand, Japan and China. Fungal isolates were derived from fresh specimens and were preserved. The total number of Cordyceps specimens reached over 16,000 and almost the same number of isolates were also preserved. However, now I have around 1000 isolates preserved in my personal collection.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different Cordyceps spp. were studied in artificial culture, out of which C. militaris, C. bassiana, C. pruinosa and C. scarabaeicola have been successfully cultivated in culture.

 

A new compound ‘militarin’, isolated from C. militaris fruiting bodies, has been shown a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hepatocirrhosis in mouse, while C. bassiana has been found effective for atopy. Besides that, cultivated fruiting bodies of C. militaris have been exported to Japan, from which Kirishima Co. has launched a new product ‘Kin-Kirishima’. Similarly, some industrial products are going to be produced from C. militaris in Korea also.

 

Another research that I have been carrying out is the cultivation of honey mushroom (Armillaria species). Armillaria spp. grow inside some orchid plants. Those orchid plants cannot grow without Armillaria species. Since honey mushroom has been intensively used as an oriental medicine in Korea, it deems necessary to produce it in large scale. It was discovered that A. mellea is pathogenic to orchid, whereas A. gallica grows symbiotically with it. The number one honey mushroom sold in Korea is the one symbiotically grown with A. gallica. There is no problem encountered while cultivating orchids with A. gallica.

 

Tricholoma matsutake, a mycorrhizal fungus, has long been known as a non-culturable fungus. However, isolates were successful made from the fruiting bodies, which were grown in a large scale through the liquid culture. The liquid cultures of T. matsutake were inoculated in pine forests that developed mycelial pellets in consecutive years. The pellets were identified as those of T. matsutake from the DNA analysis. It is now presumed that there is possibility of producing fruiting bodies of T. matsutake in the pine forest after some more years’ research.

 

As a result of 27 years of continuous research on Cordyceps, Korea is now well recognized not only in the country, but also outside, as the outstanding country for Cordyceps. Hence, I hope all my fellow mycologists will dedicate themselves to the study of mushroom and succeed in our mission to help recognize Korea as the country of mushroom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