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책/한국동충하초(총론)

한국의 동충하초 서론 동충하초란 쓰는 즐거움(1)

성재모동충하초 2021. 5. 12. 04:44

한국의 동충하초 서론 동충하초란 쓰는 즐거움(1)

 

20210512. 오늘도 우리 남은 인생의 첫날을 맞이하는 수요일로 이제는 여름으로 들어가는 길목에서 아침·저녁으로 서늘하지만, 낮에는 더위를 느낄 수 있는 좋은 날로 여유를 가지면서 쉬어가는 마음으로 오늘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오늘도 성재모동충하초를 벗 삼아 어디에 내어놓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잘 재배하여 인연이 있는 고객님을 맞이하려고 한다. 언제나 고객님에게 고마운 마음을 드리며 이렇게 글을 올리는 것만으로도 기적이고 축복으로 알고 걸림이 없는 하루를 보내려고 한다. 오늘 또 하루를 선물로 받았네요.

 

한국의 동충하초 개정판을 출판한다고 마음먹고 원고를 작성하다 보니 할 것도 많아지는 것 같다. 내 마음속에 벌써 2가지 마음이 생겨 싸우고 있다. 하나는 80을 바라보는 나이에 그냥 편하게 지나다가 가면 될 것을 왜 그리 어려운 일을 시작하느냐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이제 반 평생을 동충하초 덕분에 잘 살아왔는데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여 책을 내는 것도 좋은 일이 아니겠느냐는 생각이다. 그래서 2가지 마음이 전부 맞는 말이므로 무리하지 않고 형편대로 하기로 하였다. 동충하초 동충하초 하지만 지금도 많은 사람이 아직도 모르고 있다. <동충하초라는 이름은 원래, 겨울에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나타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 동충하초균은 곤충을 침입하여 죽게 한 다음 그 기주(寄主)의 양분을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로 시작되는데 2번에 걸치어 올리려고 한다.

 

오늘은 동충하초 분류체계 확립한 책과 대표종인 박쥐나방동충하초와 번데기동충하초와 관련된 사진과 동영상 올려놓고 시작을 하였으니 끝까지 마무리를 지을 수 있도록 바르고 천천히 흔들림이 없이 그냥 가려고 한다. 우리 모두 사는 동안 최선을 다해 후회 없는 삶을 살았음 좋겠습니다. 그저 물처럼 흐르는 인생으로 늘 행복하고 웃음 가득 찬 나날이 되기를 기원합시다. 더욱 건강하시고, 범사가 잘 되는 복을 누리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고 고맙습니다.

 

문의 : 010-4872-5936

 

주문 :

성재모동충하초 머쉬텍 제품 http://naver.me/5rLTrzqo

 

성재모동충하초 현미밥알칩 http://me2.do/F36egE3F

 

성재모동충하초 현미강정 http://naver.me/GUvhYm9X

 

성재모동충하초 주문서 서울개미 문소라 http://naver.me/FWJm0n0a

 

하심정 www.hsinsam.com

 

횡성새말양봉 www.smhoney.kr

 

횡성군 농업인백화점 https://cafe.naver.com/farmworkers/162

 

동충하초 http://sungjaemo.com http://blog.daum.net/cordyceps

 

I. 서론

1. 동충하초란

동충하초라는 이름은 원래, 겨울에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나타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 동충하초균은 곤충을 침입하여 죽게 한 다음 그 기주(寄主)의 양분을 이용하여 동충하초인 자실체를 형성한다. Cordyceps속은 지금 자낭균문 육좌균목의 Cordycipitaceae OphiocordycipitaceaeClavicipitaceae 과로 세분되는데 (Sung et al. 2007, Shrestha et al. 2017), 한국,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곤충을 다루는 곤충학자들조차 동충하초균에 의해 병든 곤충에 별 관심이 없었고, 어쩌다 채집된 것도 불완전한 표본이라 단정하여 연구 대상에서 의도적으로 제외했기 때문이다. 균학자는 동충하초에 전통적으로 관심이 있었으나 곤충기생균을 핵균강으로 세분화하여 생각하는 균학자는 거의 없었다. 균학적으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동충하초를 자연에서 볼 수 있고 배양도 잘되고 다루기도 어렵지 않고 해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게 되어 불완전세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거기에 더하여 동충하초는 자연 생태계 내에서 곤충 집단의 밀도를 조절하기도 하고 균을 이용한 살충제와 사람에게 좋은 약으로 인간에게 유용한 자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최근에 사용한 예는 티벧, 중국의 히말라야, 네팔, 부탄 3,000에서 5,000박쥐나방동충하초 Ophiocordyceps sinensis (syn. Cordyceps sinensis) 를 채집하여 한약제로 사용하였는데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동충하초가 인삼, 녹용과 함께 귀한 3대 한방 약재로 취급됐으며, 불로장생의 비약으로 결핵, 황달 치료와 아편 중독의 해독제로 이용됐다. 늦게나마 한국에서도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채집하여 여러 가지 임상 실험을 해 본 결과 항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한국을 비롯한 중국과 일본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 Introduction

1. An introduction to Cordyceps

The name term 'insect-born fungi' as applied here to the species of Cordyceps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these fungi develop in an insect's body during summer, remain dormant throughout the winter and then form a plant-like fruiting body during the following spring or summer. These fungi invade insects, kill them, use the nutrients from the host body, and then later form fruiting bodies. The genus Cordyceps, now segregated to different genera in families Cordycipitaceae, Ophiocordycipitaceae and Clavicipitaceae of Hypocreales (Ascomycota) (Sung et al. 2007, Shrestha et al. 2017), is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The reason that they are not better known is because entomologists are not usually actively interested in them and may even intentionally exclude them from study. Mycologists are traditionally more interested in Cordyceps but relatively few mycological taxonomists have chosen to specialize in these entomopathogenic pyrenomycetes. Much more mycological (and entomologic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sexual or conidial states of Cordyceps because these fungi are more common, easier to culture and to manipulate, and have a greater potential for applied use in biological control. Nonetheless, insect-born fungi can exert a very real degree of natural control over the density of their host populations and are useful to humans as both for their uses as fungal insecticides and as herbal medicines. An example of the latter use is Ophiocordyceps sinensis (syn. Cordyceps sinensis) collected from the lepidopteran larvae in Tibetan Plateau and the Himalayan Mountains of China, Nepal, Bhutan and northern India at altitudes of 3,000~5,000 m. Since ancient times in China, O. sinensis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ree major natural medicines along with ginseng and deer horn. It has been used to treat tuberculosis, jaundice and opium addiction. Lately in Korea and elsewhere, Cordyceps militaris has been found to have anti-cancer effects as well. Many studies are going on in Korea, China, Japan and elsewhere to determine the other possible benefits of Cordyceps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