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생리활성/붉은자루동충하초

붉은자루동충하초의 건조 및 품질을 향상응 위한 건조 연구(3)

성재모동충하초 2010. 7. 22. 14:35

라. 건조방법이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건조효율과 색도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분석

1) 일반적으로 동충하초의 건조방법은 동충하초의 고유한 영양 성분과 색, 향 등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고가인 동결건조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고유한 색을 보존하면서 열 효율이 우수한 건조 방법이 원적외선 건조방법임을 분석 할 수 있었다.

 

2)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붉은자루 동충하초를 건조시키면 건조비용은 1kg당 1300원이 소요되고 있다.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면 건조 시간이 단축되나 동결건조에서도 문제가 되는 동충하초의 이취(異臭)가 남아있다. 원적외선 건조기는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건조 후 건조물의 표면이 단단해지고, 이취가 제거되며 붉은자루의 색상이 동결건조한 시료와 유사하게 보존되어지고, 건조시간이 매우 단축됨을 분석 할 수 있었다.

 

3)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건조 방법의 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산업화하기 위하여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시료를 동충하초 자루 부분과 배지부분을 분리하여 건조하였다. 1차 건조에서는 125℃온도 분위기에서 함수율이 20%까지 도달 할 때까지 건조시간을 유지시켰으며, 함수율이 20%정도 도달 한 후 2차 건조 온도를 80℃로 제어 시켜 건조 무게가 항량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그림 13와 같이 붉은자루 부분은 125℃ 온도에서 건조할 경우 함수율이 74.4%에서 17.5%까지 건조되는데 20분 정도 소요되었다. 연속적으로 80℃로 온도를 제어시킨 상태에서 함수율은 6%까지 건조하는데 20분이 소요되었다. 즉 붉은자루 부분만 건조하는데 단지 40분만에 건조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지부분은 시편의 크기를 1㎝ ×1㎝ 크기로 절단하여 1차적으로 125℃ 경우 함수율 71.8%에서 25%정도까지 건조하는데 1.5hr이 소요되었고, 연속적으로 2차 건조에서는 80℃로 제어하였을 때 함수율 3.33%까지 도달하는데 2hr이 소요되었다. 즉,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배지를 건조하는 데 3.5hr만에 4%이하까지 건조 할 수 있었다. 생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붉은자루 부분과 색도를 비교하면 생 동충하초의 L-값이 48.2, 붉은 색 a-값이 31.2, b-값이 24.6에서 건조 후의 L-값이 39.2, 붉은 색 a-값이 29.3, b-값이 22.1로 측정되었다.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고유한 색상을 가장 근접하게 건조 할 수 있었다.(표 9)

4)그림 13 및 표 8에서 보듯이 원적외선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붉은 자루 동충하초를 경제성 및 열효율, 품질이 우수한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1차 건조온도 125℃에서 함수율 20%까지 건조하고, 2차 건조온도 80℃에서 5%이하까지 건조하는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Fig. 13 : 원적외선 건조기을 이용하여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붉은자루 부분과 배지 부분을 분리하여 건조하였을 때 건조시간에 따른 함수율 변화도

(건조조건 : 붉은자루 ; 함수율 74.4%에서 17.5%까지 125℃에서 1차 건조함수율 17.5%에서 6%까지 80℃에서 2차 건조 배 지 : 함수율 71.8%에서 24.8%까지 125℃에서 1차 건조함수율 24.8%에서 3.3%까지 80℃에서 2차 건조 )

 

Table 8. 원적외선 건조기을 이용하여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붉은자루 부분과 배지 부분을 분리하여 건조하였을 때 건조시간에 따른 함수율 값

 

배지 건조 조건

붉은자루 건조 조건

건조시간

건조온도

배지부분 함수율(%)

건조시간

건조온도

붉은자루 함수율(%)

0

125℃

71.87

0

125℃

74.41

90

80℃

24.76

20

80℃

17.54

210

-

3.33

40

-

6.00

 

Table 9. 원적외선 건조기을 이용하여 붉은자루 동충하초의 붉은자루 부분을 1차 건조 125℃,2차 건조 80℃에서 건조 후 붉은자루 색도 측정 값

 

L-value

a-value

b-value

39.2

29.3

22.1